공공예술, 규모가 커진 만큼 갈등도 깊어져

2018. 1. 17.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공공예술은 2000년 초부터 커뮤니티 아트(공동체 문화예술 운동)를 표방하며 본격적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2001년 공공미술제도 도입을 위한 예술인협의회가 처음 발족하며 논의의 물꼬를 텄을 당시만 해도 관심은 건축물 장식물 등 물리적인 도시예술 인프라 확보에 치중하는 쪽에 머물렀다.

예술가들은 이런 정책적인 변화를 업고 장소형 공공미술을 공동체형 미술로 계속 확장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을 프로젝트 200곳 육박하지만
서울 이화동 벽화 훼손 사례처럼
주민과 불화한 게릴라식 활동 문제

[한겨레]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에 설치됐던 마을 벽화는 관광객들의 번잡함을 싫어하는 동네 사람들에 의해 지워졌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한국 공공예술은 2000년 초부터 커뮤니티 아트(공동체 문화예술 운동)를 표방하며 본격적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2001년 공공미술제도 도입을 위한 예술인협의회가 처음 발족하며 논의의 물꼬를 텄을 당시만 해도 관심은 건축물 장식물 등 물리적인 도시예술 인프라 확보에 치중하는 쪽에 머물렀다. 그러나 건물과 물질적인 작품 위주에 치우쳤다는 지적이 작가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비물질적이지만 지속 가능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데 예술이 제 몫을 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2006~2007년 나온 당시 문화관광부의 ‘아트인시티’(현재는 마을예술네트워크사업)나 서울시의 도시갤러리 프로젝트는 이런 예술계 움직임에 호응해 나온 민관 협업성 기획들이었다. 지속성이나 사업 성과에 대한 논란은 분분했지만, 사업들은 수년간 지속되면서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과 저변을 넓히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를 중심으로 대단위 재개발을 접고 문화로 지역을 살리는 도시재생 전략이 지자체들 사이에 퍼졌다. 벽화 미술 등을 통해 독특한 역사 지리적 내력을 부각한 부산 감천마을, 통영 동피랑마을, 서울 이화동 등이 새 모델로 떠올랐다. 예술가들은 이런 정책적인 변화를 업고 장소형 공공미술을 공동체형 미술로 계속 확장해왔다. 뉴타운으로 대변되는 경제일변도 재개발의 허상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면서 문화도시에 대한 시민의 욕구가 부쩍 커진 것도 배경이 됐다. 그러나 벽화와 조형물이 들어선 마을 프로젝트가 200곳 가깝게 육박하는 등 규모가 커지면서 작가와 주민 간의 미숙한 교감, 인식차에 따른 갈등도 불거져 나왔다. 2016년 서울 낙산 기슭 이화동 벽화마을의 명물이던 통로계단 그림을 주민들이 잇따라 지우고 훼손한 사건은 사회적으로 파장을 일으켰다. 마을을 찾아가 일방적으로 작업하고 작품이 완성되면 철수하는 게릴라식 활동과 작가들이 주민에게 시혜를 베푼다는 식의 인식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최근 국내 공공미술 흐름이 작업 자체보다 생활공동체와의 소통 자체에 집중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는 건 이런 일방주의 관행에 대한 성찰이 일어나면서 생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