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글 읽기 전쟁'서 중국이 미국 이겼다

주영재 기자 2018. 1. 16. 22: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스탠퍼드대 주최 독해력 대회, 알리바바 개발 인공지능 ‘1위’
ㆍ‘정확도’는 인간 능력도 넘어

중국이 ‘인간보다 독해 능력이 뛰어난 인공지능(AI)을 개발한 첫 국가’ 타이틀을 차지했다.

블룸버그는 15일(현지시간) 중국의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개발한 인공지능이 미국 스탠퍼드대가 주최한 인공지능 대회에서 82.44의 정확도로 인간(82.3)보다 뛰어난 독해 능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이번 인공지능 대회는 10만개 이상의 질문에 정확한 답을 내야 하는 것으로 머신러닝의 수준을 측정하는 가장 권위 있는 대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질문들은 “아마존 열대우림은 얼마나 큰가” “니콜라 테슬라의 출신 국가는 어디인가” “올해 슈퍼볼 하프타임 쇼의 첫 공연을 어떤 그룹이 맡았나” 등이었다. 500개 이상의 위키피디아 문서를 바탕으로 한 이번 시험은 인공지능이 거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해 질문에 정확한 답을 낼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도 82.65의 정확도로 인간을 넘어섰지만 결과가 알리바바보다 하루 뒤에 나왔다. 결국 인간보다 독해 능력이 높은 인공지능을 만든 최초 국가 타이틀은 중국이 가져갔다. 이 때문에 뉴스위크는 “중국이 인공지능 전쟁에서 미국을 이겼다”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알리바바 ‘기술데이터과학연구소’의 수석 과학자인 루오시는 “이번 결과는 ‘무엇이 비를 내리게 하는지’와 같은 객관적 질문에 기계가 매우 높은 정확도로 답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며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이 앞으로 고객 응대와 박물관 안내, 환자의 의료 상담에 대한 온라인 답변 등에 적용될 수 있어 인간의 필요를 전례 없는 방식으로 감소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바바의 성취는 중국의 ‘AI굴기’가 본격적인 성과를 낸 사례로 해석된다. 중국은 2030년까지 인공지능 기술 세계 1위 국가를 목표로 지난해 11월 과학기술 분야 정부 부처와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IT 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인공지능 개발기구를 출범시켰다. 중국은 2030년 자국 인공지능 시장을 165조원 규모로 예상했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