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태생적 차명회사였나.."서류상 대표 구성도 MB가"

이지혜 2018. 1. 16. 20: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전신인 대부기공을 설립하면서 '서류상 대표'로 누구를 앉힐 지 등에 대해서도 직접 지시하고 챙긴 정황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김성우 전 사장이 검찰에서 하고 있는 진술들은 다스가 이미 설립 단계부터 완벽하게 차명으로 세워지도록 계획돼 있었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지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다스의 회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큰 형 이상은씨입니다.

사장은 측근들을 중심으로 일부 바뀌었지만 회장과 서류상 소유주는 이상은씨입니다.

1987년 대부기공과 다스로 이름이 변경된 뒤에도 주인은 바뀐 바가 없습니다.

이를 근거로 이 전 대통령 측과 이상은씨 모두 다스의 실소유자가 이상은씨라고 주장합니다.

김성우 전 사장도 2007년 보도자료를 통해 다스의 등기, 주주명부 등 어디에도 이 전 대통령 이름이 없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사정당국에 따르면 김 전 사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이 1985년 대부기공 설립 준비 때부터 누구를 대표로 앉힐지 등에 대해 모두 관여했다"고 말했습니다.  

◆ 관련 리포트 [단독] "MB, 다스 전신 설립 지휘"…'실소유주' 결정적 진술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633/NB11576633.html

설립 과정 전반을 챙기고, 대표에 누구를 앉힐지까지 결정했다면서 다스는 태생적으로 차명 회사였다는 취지의 증언을 했다는 겁니다.

김 전 사장은 이 전 대통령이 현대건설 사장 당시에도 함께 근무했던 인물입니다.

다스의 사장을 지내기도 하며 경영 전반에도 깊게 관여했습니다.

30여년 전 다스의 설립 전후와 경영 전반을 모두 알고 있는 이른바 '살아있는 증거'로 꼽히는 김 전 사장의 진술이 10여년간 지속된 다스의 실소유주 물음에 대한 결정적 진술이 될 지 주목됩니다.   (영상디자인 : 이재욱)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