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죄인이 무슨 할 말.." 사상초유 압수수색 충북소방 '침통'

2018. 1. 15. 11: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죄인이 무슨 할 말.." 사상초유 압수수색 충북소방 '침통'

29명의 희생자를 낸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대응 부실 논란과 관련, 경찰이 15일 소방당국을 전격 압수 수색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충북소방본부와 소방종합상황실, 제천소방서 등 3곳에 대한 압수 수색에 나섰다.

경찰은 압수 수색과 동시에 이날 오전 충북도청 본관 3층의 상설 감사장에 감사실을 차린 뒤 소방본부 측에 요청해 필요한 자료를 받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 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성별
말하기 속도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찰 충북소방종합상황실·제천소방서 전격 압수수색 단행
대원들 "목숨 걸고 불 껐는데..그만둬야 하나 자괴감" 탄식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김형우 기자 = 29명의 희생자를 낸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대응 부실 논란과 관련, 경찰이 15일 소방당국을 전격 압수 수색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압수수색 중인 제천소방서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충북소방본부와 소방종합상황실, 제천소방서 등 3곳에 대한 압수 수색에 나섰다. 소방당국의 늑장 대응, 부실 대처로 인명 피해가 컸는지를 따져보기 위해서다.

소방본부가 압수 수색을 당한 것은 1992년 4월 본부 설치 이후 26년 만에 처음이다.

제천소방서는 1979년 개청 이래 39년 만에 처음 겪는 수모다.

경찰은 압수 수색과 동시에 이날 오전 충북도청 본관 3층의 상설 감사장에 감사실을 차린 뒤 소방본부 측에 요청해 필요한 자료를 받고 있다.

29명이 숨지고 40명이 부상한 제천 화재 참사 이후 큰 충격에 빠졌던 소방 직원들은 입을 꾹 닫은 채 침통한 표정으로 수사관들의 요구에 응하고 있다.

충북소방본부 관계자는 분위기를 묻는 질문에 "인명 피해를 초래한 죄인들이 무슨 할 얘기가 있겠느냐"며 자리를 급히 피했다.

제천 화재 참사 현장에서 진화와 구조를 맡았던 제천소방서 직원들도 첫 압수수색에 당혹스러워하기는 마찬가지다. 취재진의 접근을 1층부터 차단한 채 말을 아끼고 있다.

제천소방서 관계자는 "전격적으로 이뤄진 압수 수색이 너무 당혹스럽고 힘들다. 나가 달라"고 취재진들에게 완곡하게 요청했다.

경찰은 제천소방서의 서장실과 소방행정과, 대응구조과, 예방안전과 등을 돌며 컴퓨터와 서류를 챙기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21일 오후 3시 53분 첫 신고 이후 초기 대응이 적절했는지, 무선은 과연 불통이었는지, 2층 진입 지연에 대한 잘잘못은 있는지 등을 낱낱이 따져볼 방침이다.

제천소방서 관계자는 "소방서가 문을 연 이후 첫 압수수색"이라며 "현장에서 목숨을 걸고 화재를 진압했던 직원들이 상당히 당혹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제천 참사 이후 화재 현장으로 출동할 때마다 불안해하고 긴장하는 대원들의 모습이 역력하다"며 "불면증에 시달리고, 자괴감이 든다며 그만둬야겠다고 말하는 직원들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ks@yna.co.kr

☞ 갓난아이 숨지자 '원장은 악마' 1인 시위 하더니
☞ '동영상 뿌릴것' 여고생 협박 3년간 '몹쓸짓' 학원장
☞ 남편은 경찰관 폭행, 지구대 온 아내는 음주운전
☞ 홀로 살던 60대 남성 방문을 열어보고 놀란 사실
☞ 로또 1등, 천안 같은 복권판매점서 5개 당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