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비트코인 채굴 금지령..'가상화폐 망명' 나서나
[경향신문] 중국 당국이 비트코인의 거래 중단을 지시한데 이어 ‘채굴’을 금지했다. 가상화폐가 돈세탁 등 범죄에 악용되고 이를 채굴하는 데 엄청난 전력을 소모한다는 게 이유다.
비트코인 채굴에 사용되는 전 세계 컴퓨터 전력의 80%를 차지하는 중국에서 채굴이 중단될 경우 관련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산하 인터넷금융 감독기구인 인터넷금융위험관리공작영도소조가 최근 지방정부에 가상화폐 채굴 금지 공문을 보냈다. 공문은 “비트코인 채굴이 전력을 대량으로 소비하고 투기를 조장한다”고 지적했다.
WSJ는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 금지는 유망시장이었던 가상화폐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개로 제한돼 있으며 현재까지 약 1670만개가 채굴된 상태다. 전체의 80%가 채굴된 셈이다. 문제는 채굴량이 많아지면서 블록 생성을 위한 연산 과정의 난이도가 갈수록 높아진다는 점이다. 시스템이 너무 커져 블록 등록과 거래 승인 기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이미 부하가 걸렸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이 채굴을 중단하면 전체 시스템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
하지만 중국 채굴업자들이 채굴을 포기할 가능성은 적다. 일부는 이미 중국을 떠나 다른 나라로 옮기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6일 중국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이 미국과 캐나다, 아이슬란드 등지로 둥지를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박상기 법무장관의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경고에 비트코인 가격은 널뛰기를 하며 급락 중이다.
<김창효 기자 ch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논문 지도’ 빌미로 대학원생 제자 수차례 성폭행한 전직 대학교수 구속기소
- 개점 한시간여 만에 동난 ‘SKT 유심’…번호표 받고 기다린 시민들 분통·항의
- “SKT 유심 절대 교체 마라, 부정선거 여론몰이다”···또 시작된 극우 음모론
- [대선 인사이드] 대진표 주시하는 이재명…국민의힘 후보가 누가 되든 공략법은 있다?
- “SKT 먹통 된 뒤 알뜰폰 개통되고 5000만원 빠져나가”…경찰 수사
- [속보]대구 북구 산불에 ‘국가소방동원령’ 발령···민가 쪽 확산 계속
- 한덕수 출마 임박…김문수 “명분 약해” 홍준표 “상식 맞나” 공세로
- [단독]김건희 빠진 ‘삼부토건 주가조작’ 고발 사건, 서울남부지검이 맡는다
- 첫 행보로 이승만·박정희 묘역 간 이재명…“참배가 새 도화선 되지 않길”
- 이재명, ‘보수책사’ 윤여준 영입···이념·계파 ‘용광로’ 선대위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