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D램 좀.." 구글·아마존, 삼성에 목매는 이유는

김성은 기자 2018. 1. 8.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면서 세계 주요 IT 기업들이 삼성전자에 구애의 손길을 보내고 있다.

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지난해 삼성전자의 경기도 화성 반도체 공장 주변에 영업 거점까지 마련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안정적인 조달을 위해 상주 직원이 거의 매일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드나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주변에 영업거점 마련하고 '러브콜'.. "데이터센터용 D램, 공급자 우위 시장"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면서 세계 주요 IT 기업들이 삼성전자에 구애의 손길을 보내고 있다.

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지난해 삼성전자의 경기도 화성 반도체 공장 주변에 영업 거점까지 마련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안정적인 조달을 위해 상주 직원이 거의 매일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드나들고 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삼성전자 측은 "(고객사에 대한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직답을 피했다.

다만 지난해 데이터센터향(서버용) D램의 인기에 힘입어 제품 가격이 급등한 점에 비춰볼 때 이같은 보도가 '상식 밖의 그림'은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전반적인 시각이다.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D램 평균가격(4Gb DDR4 PC향 범용제품 기준)은 1.94달러(USD)에서 3.59달러(USD)로 85.1% 올랐다. 1GB(기가바이트)는 8Gb(기가비트)다. 통상 PC향보다는 서버향 제품이 기능이 우수해 20~30% 가량(같은 용량 기준)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서버용 D램 중 16GB DDR4 제품의 평균가격은 2016년 말 95달러에서 지난해 말 145달러까지 약 52.6% 오른 것으로 추산된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급 D램, 즉 구글이나 아마존 등 IT기업의 데이터센터에 쓰이는 D램은 확실히 공급자 우위의 시장 성격을 띤다"며 "지난해 D램 가격이 급등한 데에는 공급이 폭발적 수요를 쫒아가지 못했던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IT업체들이 프리미엄급 D램에 목을 매는 것은 고품질의 D램일수록 처리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도 낮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업체들이 제품 원가를 '비용'이라 생각한다면 IT 업체들은 이를 '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해 가격이 비싸도 고품질의 제품을 앞다퉈 요구한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고품질의 D램을 사용할 경우 원가는 더 들지 모르지만 IT 기업들 입장에선 추후 유지 비용이 덜 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며 "고사양의 초집적도의 D램을 사용할 경우 건설비, 전기료, 유지보수를 위한 인건비 등등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미엄 D램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초격차 기술력을 앞세워 항상 경쟁사보다 한 발 빠른 미세공정 제품을 내놓기로 유명한 삼성전자 D램에 '러브콜'이 몰릴 수밖에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2월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2세대(1y 나노·10나노대 중반이라는 뜻) D램'을 양산중이라고 밝혔다. 10나노급 8Gb(기가비트) DDR4(Double Data Rate 4) 제품이다.

직전 사양인 2016년 2월 양산을 시작한 '10나노급 1세대(1x 나노·10나노대 후반이라는 뜻) 8Gb DDR4 대비 속도가 10% 이상 향상됐고 소비전력량은 15% 이상 절감됐다. 미세공정을 활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은 약 30% 높아져 글로벌 고객의 프리미엄 D램 수요에도 적기에 대응토록 했다.

이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전세계 D램 시장에서 44.5%(매출액 기준)의 점유율을 기록, 업계 1위를 차지했다.

프리미엄급 D램을 향한 수요 강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데이터센터 한 곳 당 1000만~2000만GB(기가바이트) 용량의 D램이 쓰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당분간 D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이란 분석이다.

김성은 기자 gttsw@mt.co.kr, 유희석 기자 heesu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