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구석기 유물 8천점.."밀집도 이례적, 중요 유적"

2018. 1. 5. 11: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 고양시 서울∼문산 고속도로 행신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수천 점이 무더기로 나오면서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발굴현장을 둘러본 학계 관계자는 "좁은 지역에 구석기시대 유물이 밀집해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며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변화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양에서 나온 구석기시대 유물.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경기도 고양시 서울∼문산 고속도로 행신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수천 점이 무더기로 나오면서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겨레문화유산연구원(원장 김기태)은 경기도 고양시 도내동 787번지 일대의 2천200㎡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4만∼6만 년 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기 8천여 점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원 관계자는 "겨울이어서 발굴조사를 중단한 상태"라며 "조사는 3월에 재개해 2∼3개월 정도 더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물의 정확한 숫자는 발굴조사가 끝나야 파악할 수 있다"며 "유물이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고양에서는 원흥동 외에도 일산 대화동 일대의 가와지 유적, 덕이동, 탄현동, 삼송동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됐다.

가와지 유적에서는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 500여 점이 발견됐고, 삼송택지개발지구에서도 석기 160여 점이 발견됐으나 이렇게 많은 유물이 나온 적은 없다.

고양 도내동 발굴현장 전경.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제공]

발굴현장을 둘러본 학계 관계자는 "좁은 지역에 구석기시대 유물이 밀집해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며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변화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발굴 지역의 경사가 심해서 석기가 흘려 내려왔을 수 있다"며 "유물들의 위치가 제자리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구석기시대는 돌을 다듬는 방식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전기 구석기시대에는 커다란 석기를 통째로 썼으나, 중기 구석기시대가 되면 돌덩이에서 떼어낸 돌조각(격지)을 활용했다. 후기 구석기시대에는 좁고 날이 날카로운 석인(石刃)이 사용됐다.

박희현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석기가 다량으로 나온 이유에 대해 "당시에 강이 범람하면서 밀려왔을 수 있다"면서도 "발굴 지역 주변에 석기의 주된 돌감인 석영맥암이 있는데, 일정한 기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석기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했다.

박 교수는 "발굴조사 기간을 연장하고 추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양에서 나온 구석기시대 유물. [겨레문화유산연구원]

psh59@yna.co.kr

☞ 압구정 아파트 경비원 94명 전원 해고…최저임금 인상탓?
☞ '스파이더맨 복장 셀카' 찍던 유학생, 기숙사서 추락사
☞ 美 덮친 한파에 '냉동' 이구아나 속출…거북도 꽁꽁
☞ 피겨선수의 '위험한 다이어트'…거식증에 평창 포기
☞ 동료 엽사가 쏜 총탄에 맞아 사망…"멧돼지로 착각"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