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가 의장 맡은 기구'가 뽑은 통일그림 40%에 '인공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의장을 맡은 청와대 직속기구의 지역 공모전 수상작 가운데 40%에 인공기가 들어가 있는 사실이 동영상으로 확인됐다.
또한 포털사이트 <네이버> 이미지를 검색해본 결과 '통일 포스터' 가운데 태극기와 인공기가 나란히 들어가 있는 그림은 20% 정도(중복사진 제외)에 이르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윤근혁 기자]
|
▲ 민주평통 지역행사 공모전 수상작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 모습. |
ⓒ 유튜브 |
전체 수상작 38편 가운데 15편에 인공기 '수두룩'... 왜?
4일, 유튜브에 있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인천지역회의 주최 '2014 평화통일포스터 공모전 시상식'이란 제목의 동영상을 살펴봤다. 이 동영상을 보면, 2014년 12월 22일 시상식 뒤 전시된 통일포스터 수상작 38개가 화면에 등장한다. 모두 초중고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다.
당시 민주평통 의장은 박근혜 대통령이었다. 이 기구는 평화통일에 대해 대통령에 자문하는 청와대 직속기구다.
이 동영상에 나온 38개의 수상작 가운데 39.5%인 15개에 인공기 그림이 들어가 있다. 물론 최근 자유한국당이 문제 삼은 우리은행 달력 그림 '통일나무'처럼 태극기도 나란히 들어가 있다.
수상작 가운데엔 인공기와 태극기가 어깨동무를 한 것도 있고, 인공기와 태극기 옷을 입은 사람의 악수 모습도 있다. 두 깃발 모양을 가진 가위가 철책 선을 자르는 그림도 있다.
또한 포털사이트 <네이버> 이미지를 검색해본 결과 '통일 포스터' 가운데 태극기와 인공기가 나란히 들어가 있는 그림은 20% 정도(중복사진 제외)에 이르렀다.
일선 교사들에 따르면 인터넷에 접근이 쉬운 요즘 아이들은 인공기를 쉽게 찾아서 포스터에 넣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한 초등교사는 "남북 화해와 통일을 염원하는 그림을 그리면서 한쪽에 태극기를 넣었으면, 다른 쪽에는 일장기나 성조기가 아닌 인공기를 넣는 게 너무도 당연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
▲ 2011년, 2012년 통일부장관상을 받은 학생들의 그림. |
ⓒ 기호일보 |
달라진 홍준표의 태도
하지만 당시 특별한 대응이 없던 홍 대표는 지난 1일 '통일나무 그림'에 대해서는 "인공기가 은행 달력에 등장하는 그런 세상이 됐다"고 개탄한 바 있다.
이부영 아동미술전문가(전 초등교사)는 "어른들이 아이들의 그림에 대해 인공기를 왜 넣었는지를 이해하려 하지 않고, 정치권이 색안경을 끼고 그림을 보는 것이 문제"라면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아이들의 그림에 대한 색깔론을 보면 '무식하다'는 말밖에 다른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임승차 후보의 협박"... 다리 불사른 김문수는 '자택 귀가'
- 한덕수 "그 어떤 덕수라도 될 것" ... '강제지목' 안철수는 "다 돌려놔"
- 주말 새벽 3시에 서류 32건 제출, 한덕수가 그 놀라운 일을 해냈지 말입니다(국힘과 함께)
- 홍준표 "파이널 자폭" 한동훈 "북한도 안 이래" 안철수 "막장극" 나경원 "내가 사랑한 당 아냐"
- 누리꾼들 "돈 한푼 안낸 한덕수가..." "김문수 취소면 한동훈이 후보"
- '막내 기자가 마흔살', 고양시 유일한 지역언론의 고민
- 8만원짜리 월세방, 2000원짜리 밥, 500원짜리 음료
- 트럼프가 왜 공손한가 했더니... 한국과 미국이 역전된 상황
- "틀린 걸 알았으면 빨리 풀자, 그냥 하자" 수학 이야기 아닙니다
- 어른 김장하 만난 이재명 "돌 없는 제대로 된 밥 지으라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