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동전파스, 무작정 붙였다간 화상·발진 '부작용'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2018. 1. 4. 09: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부 따뜻하게 하는 성분 때문.. 얇은 피부·목욕 후 바르면 자극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최근 해외직구를 하거나 일본 여행을 가서 '동전파스'〈사진〉를 구입해 통증이 있는 곳에 붙이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동전 파스를 붙인 후 피부 화상·발진이 생겼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동전파스는 크기가 작지만 열감·자극감이 있는 파스다. 일반적으로 붙이는 파스에는 살리실산 메칠(혹은 살리실산 글리콜), 캄파, 멘톨, 박하, 치몰, 토코페롤 등의 성분이 들어있는데, 동전파스에는 이들 성분에 '노닐산바닐릴아미드'까지 함유돼 있다.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성분은 온기를 발생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진통 효과를 높인다. 헬스조선 약사자문위원 황은경 약사는(오거리약국)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성분은 부착 후 10분 정도면 환부가 따뜻해지는 효과가 있지만, 피부 부위에 따라서는 너무 강한 자극을 주기도 한다"며 "사타구니, 턱 주변, 팔·다리가 접히는 곳 같은 피부가 얇은 부위에 붙이거나 너무 여러 장의 파스를 동시에 붙이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동전파스를 붙이고 부착 부위를 누르거나 찜질을 하거나, 목욕 직후에 파스를 붙이면 파스 성분의 자극이 더 강해져 화상을 입거나 물집이 생길 수 있어 삼가야 한다.

동전파스는 원래 한방의 원리로 기혈(氣穴) 자리에 붙여야 효과가 있다. 황은경 약사는 "나이가 들어 피부가 두꺼워진 사람, 만성통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붙이면 효과가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일본 드럭스토어나 해외 직구로 구입해 사용법을 모르고 무작정 통증이 있는 부위에 붙여 효과를 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