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 찍겠다" 14.2%.. 한국당 10.1%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해 지방선거를 치렀을 때 파괴력은 어느 정도일까.
동아일보가 전국의 유권자 1005명을 상대로 한 신년 여론조사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한다면 어느 정당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통합신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14.2%로 나왔다.
통합신당은 보수 정당의 아성인 대구·경북(한국당 23.6%, 통합신당 15.2%)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한국당 지지율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
동아일보가 전국의 유권자 1005명을 상대로 한 신년 여론조사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한다면 어느 정당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통합신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14.2%로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답변(40.8%)에 이은 2위였다. 한국당에 투표하겠다는 응답(10.1%)을 오차범위 안에서 근소하게 앞선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당 6.2%, 바른정당 4.8%로 두 정당 지지율을 합친 11%와 비교할 때 3.2%포인트가 올라갔다. 정당 간 통합의 시너지 효과가 어느 정도 존재하며, 신당 바람이 ‘미풍’ 이상의 성과도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인물 투표의 영향이 큰 광역단체장 선거보다는 정당에 투표하는 광역·기초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 통합신당 돌풍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방선거가 광역단체장 선거라는 점에서 지역별 응답을 분석해 보면 이런 가능성은 더욱 두드러진다. 통합신당은 보수 정당의 아성인 대구·경북(한국당 23.6%, 통합신당 15.2%)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한국당 지지율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통합신당과 한국당이 각각 14.2% 대 8.9%, 인천·경기에선 13.3% 대 7.7%로 나왔다. 민주당 강세 지역인 광주·전라의 지지율(11%)이 가장 낮았지만 이 또한 한국당(2.3%)을 크게 앞선 수치다.
양당의 통합 변수를 제외한 정당 지지도에선 민주당이 44%로 나타나 고공 행진을 계속했다. 그 뒤를 한국당(10%)과 국민의당(6.2%), 바른정당(4.8%), 정의당(3.7%)이 이었다.
민주당은 30대와 40대에서, 지역별로는 광주·전라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도를 보였고 수도권과 대전·충청 등에서 45% 이상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한국당은 60대 이상, 대구·경북(18.5%)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클릭!)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 4년 중임제' 41%, '5년 단임제 유지' 의견은
- 국민 10명중 7명 "개헌 필요하다"
- "적폐청산, 기한없이 계속돼야" 56%.. 60대이상은 "조속히 마무리를" 52%
- '현역 효과' 박원순 선두.. 유승민-황교안-안철수 2위그룹
- "지방선거, 국민+바른 통합신당 찍겠다" 14.2%.. 한국당 10.1%
- 국민의당 어디로? '통합론' 탄력 받았지만..
- 겨울철 블랙박스 항상 켜져 있는 車 배터리 방전 위험 높다? 실험해보니..
- 뽕짝 트는 대북방송 실효성 글쎄..송출 가요 1위는
- 박지원 "오세훈 패배 관례 무시한 안철수, 구정치 코미디"
- 부모가 남긴 막대한 유산, 친구에게 맡기고 그가 떠난 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