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평창 방문 보류.."日대사 귀국설"도
日 ‘文대통령 위안부 성명’에 전방위 항의
일본의 반발이 거세다. 주한일본대사의 귀국 명령까지 검토하기 시작했다.
일본 소식통은 29일 일본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위안부 합의 관련 입장문 발표 이후 주일한국대사관과 외교부 본부 측에 “위안부 합의 수정은 한일관계를 불능상태에 빠트리는 것으로,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항의했다고 밝혔다.
가나스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희섭 주일 한국대사관 차석공사에게 전화해 “양국 정부에 있어 합의 유지 외에 정책 선택지는 없다”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밝혔다.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일본 대사도 임성남 외교부 1차관에게 전화해 항의의 뜻을 전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날 총리관저에서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외무심의관, 가나스기 국장을 불러 대응책을 협의했다. 협의에선 재협상 요구와 추가 조치에 응하지 않는다는 입장 하에 아래 한국 측 발표 내용에 따라 대응한다는 방침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대사 귀국설까지 흘리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나가미네 대사를 일시 귀국시키는 방안 등도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올해 초 부산의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 때 나가미네 대사를 불러들인 뒤 85일 만에 귀임시켰다.
아베 총리는 평창 동계올림픽ㆍ패럴림픽 계기 방한일정을 전격 보류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방문을 위해 일본당국은 수개월 전부터 평창 내 알펜시아 숙소와 KTX 경강선을 이용했을 때의 동선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있었다”며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방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전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아베 총리의 방한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정부 소식통이 “총리 방한은 어려워졌다. 지금 한국 가서 좋은 것이 없다”고 말했다며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방문이 전격 보류됐다고 했다. 아베 총리는 앞서 지난 19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예방했을 당시“2018년 정기 국회 예산안 심의 일정과 겹치기 때문에 평창올림픽 방한 방안에 대해 검토해보겠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주요국 정상들이 참석의사를 표시하지 않는 데다 위안부 합의에 대한 문 대통령의 입장발표가 이뤄지면서 평창 올림픽 계기 방한일정을 일단 보류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총리관저와 외무성 등에서는 문 대통령의 입장발표에 다소 당황한 분위기다. 일본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이렇게 빨리 의견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며 “강경한 표현에 일본도 대응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현재 진의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다른 소식통은 “비록 안보분야에서는 한ㆍ일 간 협력은 계속 유지되겠으나, 이외의 영역에서 관계개선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한국에 대한 불신이 깊어진 상황이라 ‘셔틀외교’ 등 투트랙 외교가 실제 이행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외교부는 일본의 항의와 관련해 “항의가 아니라 기존 입장을 밝힌 것”이라며 “일본 측에서 ‘항의’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세적인 단어선택으로 한ㆍ일관계가 다시 경색국면에 들어가는 걸 경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재연 기자/munja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