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바른 新정당, 가상 지지율은 '12.8%'-리얼미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가상 통합 시너지 효과가 기존 정당구도의 지지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지난 27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29명(응답률 4.1%)을 조사한 결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할 경우를 가정한 '신(新) 정당구도' 지지도에서 국민+바른 통합당은 12.8%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가상 통합 시너지 효과가 기존 정당구도의 지지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지난 27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29명(응답률 4.1%)을 조사한 결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할 경우를 가정한 '신(新) 정당구도' 지지도에서 국민+바른 통합당은 12.8%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신 정당구도에서 각 당의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7.4%, 한국당 17.8%, 국민+바른 이탈 정당(또는 교섭단체) 3.5%, 정의당 4.3%로 나타났다.
기존 구도의 지지도에서 국민의당은 6.8%, 바른정당은 5.6%의 지지율을 보였다. 두 정당의 지지율 합은 12.4%로, 신 정당구도에서 국민+바른 통합당의 지지율이 큰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리얼미터는 이같은 결과에 대해 "양당 통합 시 이탈파 의원들이 정당 또는 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3.5%의 지지를 받아 이탈표가 생길 것으로 전망하는 유권자들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내년 6월13일에 열릴 지방선거에서 현재의 지지율보다 더 많은 득표를 할 가능성이 높은 정당을 묻는 질문에서는 민주당이 49.0%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 한국당은 '신 정당구도' 지지도에 대비해 2.8%포인트 높은 20.6%를 기록해 약진했다. 국민+바른 통합당은 11.1%, 국민+바른 이탈 정당은 3.4%를 나타냈다. 정의당은 5.3%다.
리얼미터는 각 당 지지층을 대상으로 한 당대표 직무수행 평가도 조사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74.6%를 기록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는 71.5%를 얻으며 그 뒤를 이었다. 이후 순서는 홍준표 한국당 대표(68.9%),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65.4%), 이정미 정의당 대표(64.1%) 순이었다.
한편, 리얼미터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샤이보수 논란이 이어짐에 따라 '현재 여론조사에 어느 성향의 표심이 가장 많이 숨겨져 있다고 보는지'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했다. 그 결과 중도 성향 28.5%, 보수 성향 28.0%로 약 3명중 2명이 중도·보수 성향이 숨겨져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진보 성향은 14.4%가 숨겨져 있을 것으로 답했다. '없음'은 10.0%, '모름/무응답'을 답한 건 19.1%다.
이번 조사는 지난 2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4만9436명에게 접촉해 최종 2029명이 응답, 4.1%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조사는 무선(80%)과 유선(20%)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전화걸기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이건희 기자 kunheele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文대통령 집권 2년차, '국민 삶 바꾸는 경제' 집중한다
- "국민 배신한 나쁜 뉴스 반성".. MBC 뉴스데스크 돌아왔다
- 文대통령, 국무위원들과 만찬.."국민 삶 바꾸는 믿음 드려야"
- 文대통령 지지율 4주만에 반등..69.9% -리얼미터
- 개헌논의 '국민 패싱'..지방선거 이해득실에만 골몰
- 강호동이 샀던 그 건물, '166억' 매수자는 MC몽 - 머니투데이
- 'NJZ' 버리는 뉴진스, SNS 사진 지우고 'mhdhh'…무슨 의미? - 머니투데이
- "첫 월급, 산불 피해 도울래요" 200만원 쾌척…탈북민 출신 공무원, 사연은 - 머니투데이
- 지워지는 尹 흔적들…봉황기 내리고 사진 태우더니 홈피도 중단 - 머니투데이
- 고작 한모금 마시고 목숨 잃었다…코코넛워터 비극, 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