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88만원에서 77만원세대로 전락한 청년의 현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0세 미만 소득 1분위 계층(하위 20%)의 월 소득이 78만1000원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2013년에 90만8000원이었던 것이 3년 사이에 10% 이상 추락한 셈이다. 이쯤 되면 88만원세대란 표현도 과장된 셈이다.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66만원세대 소식이 들려오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참으로 착잡한 결과이다. 기성세대로서 책임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청년들의 고달픔은 민간연구소인 희망제작소가 24일 내놓은 시민희망지수 조사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20~30대의 절반 가까이가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부모의 경제력을 첫번째로 꼽았다. 젊은층은 집단우울증을 의심할 만큼 삶의 만족도, 경제상태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평균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굳이 캐묻지 않아도 이유는 쉬 짐작된다. 노력해도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는 자괴감의 방증일 터이다. 청년들이 취직하지 못하거나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급여·복지수준이 낮은 일자리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정부는 올해 3년 만에 경제성장률 3%대로 복귀하고, 북핵 리스크 속에서도 국가 신용등급은 최상위권이라고 자랑한다. 하지만 청년 문제는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률은 더 이상 새 소식이 아닐 정도로 일자리 가뭄은 일상화된 상태이다. 역대 정부가 청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성과를 낸 적은 없었다. 고졸자 채용확대나 청년인턴 등의 대책은 현실과 동떨어지거나 일회성에 그쳤다. 임금피크제와 시간선택제를 도입해 청년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정책도 질 낮은 비정규직 일자리로 이어졌다. 결국 청년들의 기대는 기만으로 끝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1월 중 청년고용 상황과 대책을 점검하는 청년고용점검회의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올해 국정운영이 ‘이게 나라냐’라는 물음에 대한 응답이었다면, 2018년은 ‘이게 삶이냐’에 대한 응답일 것이란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도 나왔다. 진정성을 의심하지는 않는다. 다만 유념해야 할 것이다. 과거 정부의 청년대책이 실패한 것은 한결같이 수치목표에 함몰된 탓이 크다. 청년 빈곤 문제는 일자리, 주거, 결혼, 출산 등이 한 묶음으로 연결돼 있다. 단순히 일자리 몇 개 늘린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당연히 각 부처가 각개약진으로 접근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77만원세대로 전락한 청년의 현실은 더 나은 삶이라는 희망이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희망이 사라지는 사회에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청년들의 절박감에 근거한 종합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Today`s HOT
조지아, 외국대리인법 반대 시위 로드쇼 하는 모디 총리 시장에서 원단 파는 베트남 상인들 순국한 경찰 추모하는 촛불 집회
멕시코-미국 국경에서 관측된 오로라 개아련.. 웨스트민스터 도그쇼
이스라엘 건국 76주년 기념행사 세계 최대 진흙 벽돌 건물 보수 작업
브라질 홍수로 떠다니는 가스 실린더 우크라이나 공습에 일부 붕괴된 아파트 폴란드 대형 쇼핑몰 화재 러시아법 반대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