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임종석 UAE행 이유는 '카타르산 LNG' 때문?

구교형 기자 2017. 12. 25.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UAE, 카타르 단교 때 문제 제기
ㆍ한국선 ‘수입 1위 국가’ 난감 상황
ㆍ원전 아닌 오해 수습차 다녀온 듯

최근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51)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을 두고 뒷말이 무성한 가운데 이른바 한국과 맺은 ‘원자력발전소 건설계약 취소설’은 UAE가 외교관계를 단절한 카타르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 실장의 UAE 전격 방문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본질은 한국이 아니라 카타르와 UAE의 갈등에 있다는 해석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 정부 때 계약해 UAE에 짓고 있는 ‘원전 수출’과 국내 수입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카타르산 ‘액화천연가스(LNG) 확보’ 사이에서 국익을 저울질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는 얘기도 된다.

24일 정부와 정치권 등의 말을 종합하면, 중동지역 국제관계 문제로 UAE가 카타르의 제2수출국인 한국과의 교역 문제를 들고 나왔다는 해석이 제기됐다. UAE가 외교 갈등 중인 카타르의 ‘돈줄’을 끊기 위해 한국의 카타르산 LNG 수입 문제를 제기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 한국이 UAE에 수출해 내년 초 완공을 앞둔 바라카 원전(총사업비 74조원 규모)을 볼모로 삼는다는 주장이다.

이런 경우 UAE 원전 논란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선언이나 이명박 전 대통령 조사 여파가 아니라, UAE·카타르 양국관계 악화로 파생된 ‘종속변수’에 더 가깝다는 풀이가 가능해진다.

한국무역협회 집계 결과, 한국은 지난해 전체 LNG 수입량(3345만t)의 36%를 카타르에서 들여왔다. 2·3위인 호주(14%)·인도네시아(13%)에 비해 약 2.5배 많아 카타르에 수입 의존도가 높다. 같은 기간 카타르의 수출에서 한국 비중은 15.7%로 일본(19.4%)에 이어 두번째다. 카타르가 한국에서 거둔 무역수지 흑자는 82억9300만달러(8조9564억여원)다.

지난 6월 UAE와 사우디, 바레인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들은 카타르를 상대로 국경 폐쇄와 함께 육상·영공·영해를 통한 출입국과 수출입 차단을 선언했다. 카타르가 GCC 회원국들과 적대관계에 있는 이란과 무슬림형제단(서구화에 반대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조직)을 옹호하자 이를 ‘테러단체 지원’으로 못 박은 것이다.

문제는 최악의 경우 카타르산 LNG를 포기한다면 국내에 안정적인 LNG 수급이 가능하냐는 점이다. 정부는 ‘전력 생산단가가 더 비싸도 환경과 안전을 먼저 고려하겠다’며 2030년을 목표로 에너지 전환 방침에 따라 전체 발전량에서 원자력은 줄이고 LNG 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힌 상태다.

청와대 당국자는 임 실장이 대통령 특사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왕세제를 예방한 데 대해 지난 19일 “큰 틀에서 양국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UAE에서 진행되는 원전사업은 문제가 없다”고 일각의 의혹 제기를 일축했다. 일부 언론은 이 전 대통령 때 이 원전 계약의 ‘부당성’을 현 정부가 뒷조사하다가 UAE 왕실의 노여움을 사서 국익을 훼손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UAE와 카타르 간 외교 갈등과, 한국을 사이에 두고 에너지 사업 교역을 둘러싼 역학관계가 최근 의혹을 푸는 실마리가 될지 주목된다.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