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부정의 힘', 비관론자가 더 잘 사는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유명한 목사 조엘 오스틴이 쓴 '긍정의 힘'이라는 책은 장기 베스트셀러이다.
미국의 국립암연구소(NC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심장병 등 중병에 걸릴지 모른다고 걱정하며 사는 비관론자가 낙관론자보다 자신의 건강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질병 등을 좀 더 일찍 발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은 기분이 가라앉아 있을 때 더 공정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gettyimagesbank 제공 |
우선 낙관론자보다는 비관론자가 돈을 더 잘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 지난 20년 동안에 걸쳐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비관론자가 낙관론자보다 25%가량 더 많은 소득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또 낙관론자보다 비관론자가 오히려 더 오래는 사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 국립암연구소(NC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심장병 등 중병에 걸릴지 모른다고 걱정하며 사는 비관론자가 낙관론자보다 자신의 건강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질병 등을 좀 더 일찍 발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신은 건강의 적이다. 예를 들면 방사성 기체 원소인 라돈(radon)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를 들었을 때 낙관론자보다는 비관론자가 실제 자신의 주택에 라돈 문제가 있는지 조사해볼 가능성이 크다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낙관론은 종종 실망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심리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시험 결과에 대해 낙관하는 학생은 기대한 점수가 나오지 않으면 즉각 실망하거나 화를 낸다. 그렇지만 비관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는 학생은 좋지 않은 점수를 받아도 크게 실망하지 않고,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정적인 사고방식이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애틀란틱이 강조했다. 사회 분위기가 들떠 있을 때보다는 조용하게 가라앉아 있을 때 사회 구성원 간 대화가 긴밀하게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기분이 가라앉아 있을 때 더 공정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심리학자들이 실시한 조사에서 사람은 즐거운 영상을 보았을 때보다 슬픈 영상을 본 뒤에 타인에게 더 관대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미시간대의 심리학자들은 ‘방어적 비관론’(defensive pessimism)이 일의 능률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방어적 비관론의 태도를 보이는 사람이 다트 게임을 하거나 수학 문제를 풀 때뿐 아니라 실제 인생의 목표를 성취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역량을 최고로 발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대치를 낮추고,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는 사람이 낙관론자보다 노년에 신체 장애를 겪거나 조기에 사망하는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이 매체가 전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