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22일) 동지, 팥죽 안먹는 날.."삼신 할매가 못와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2일(금)은 한 해 중 가장 밤이 길다는 동지(冬至)다.
올해 동지 절입시간은 22일 오전 1시28분이다.
'동지'는 추운 겨울이 시작되는 기준이자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 또는 팥죽을 먹는 날로 상징된다.
이 때문에 조상들은 동지를 설 다음으로 중요한 날로 생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금)은 한 해 중 가장 밤이 길다는 동지(冬至)다. 올해 동지 절입시간은 22일 오전 1시28분이다.
'동지'는 추운 겨울이 시작되는 기준이자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 또는 팥죽을 먹는 날로 상징된다.
우리 조상들은 예부터 동지에 팥죽을 끓여먹었다. 팥죽이 잔병과 액귀를 쫓아낸다고 믿었고, 동짓날 팥죽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올해는 팥죽을 먹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올해 동지(양력 12월 22일)는 음력 11월5일로 음력 11월10일 이전인 '애동지'기 때문이다.
조상들은 아이들이 10세까지는 삼신할머니가 보살펴준다고 믿었기에, 동짓날 액운을 쫓는 팥죽을 먹으면 삼신할머니가 아이들을 지켜주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애동지엔 팥떡을 대신 먹었다.
동지는 음력 날짜가 11월 초순(1~10일)에 들면 애동지[兒冬至], 즉 애기동지라 하고, 동지가 음력 11월 중순(11~20일)에 들면 중동지[中冬至]다. 노동지[老冬至]는 음력11월 하순(21~30일)이다.
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 절기로, 6개 겨울 절기 중 4번째 절기다. 예부터 동짓날은 한겨울이 시작되는 날로 여겨졌다. 동지부터 소한(1월 5일), 대한(1월 20일)까지 강추위가 이어진다.
또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짧은 날이다. 올해 동지의 일출시간은 서울지역 오전 7시43분이다. 일몰은 오후 5시17분이다. 낮의 길이가 9시34분인 것에 비해 밤의 길이는 무려 14시간26분이다.
겨울에 사람들이 우울증을 많이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일조량 부족이다. 하지만 동지가 지나면 낮이 조금씩 더 길어지며 봄이 성큼 다가와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조상들은 동지를 설 다음으로 중요한 날로 생각했다.
한지연 기자 vividh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내일 날씨]눈 내리는 한파..서울 최저 8도
- [내일 날씨]중부 내륙 강추위..수도권·충청 눈 소식
- [내일 날씨]흐리고 일교차 커..서울 아침 -4도
- 베이징 '한국콘텐츠의 날' 성황..中 콘텐츠기업 110곳 참여
- 가상통화 거래소 첫 '파산'..피해규모 짐작도 안돼
- "아빠랑 이모 사랑하던데" 어린 딸 말에 발칵…이혼 변호사도 놀란 불륜 - 머니투데이
- "아이유, '리얼' 대본 던졌다" "피오와 교제"…설리 친오빠, 무차별 폭로 - 머니투데이
- "국민은 안전한 나라 원한다"…'묻지마 살인범'에 사형 구형한 검찰의 외침 - 머니투데이
- 김수현 사주풀이 무속인 "머리 아파" 뜻밖 반응…"여자로 구설수" - 머니투데이
- 트럼프는 25%, 행정명령은 26%…한국 상호관세 뭐가 맞아?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