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②] 사실상 무제한 감청 가능.."군에 댓글 수사 맡겨선 안 돼"
<앵커>
이렇게 기무사는 군 내부 통신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원하기만 하면 감청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이런 무차별적인 감청을 막기 위한 법안이 발의가 돼 있는데 군의 반대로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이 소식 박원경 기자입니다.
<기자>
기무사는 범죄 수사나 안보 위협이 있는 경우 법원의 영장을 받아야만 군 통신망을 감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원 허가 없이도 상시적으로 무차별 감청이 가능한 게 현실입니다. 현행법의 예외 조항 때문입니다.
통신비밀보호법 7조는 작전 수행을 위해서는 법원의 허가 없이 대통령의 승인만으로 군 통신망에 대한 기무사의 감청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전의 의미가 구체적이지 않다 보니 군 통신망 전반에 대한 상시적이고 무제한적인 감청이 가능한 겁니다.
군 범죄를 수사하는 군 검찰도 예외가 아닙니다.
[이명현/변호사 (군 검찰 출신, 2015년 전역) : (기무사가) 다 감청을 한다고 봅니다. 감청한다고 생각하고 유선전화로는 통화를 안 했습니다. (중요한 이야기는) 휴대폰이나 직접 보고를 했습니다.]
지난해 12월 기무사의 무차별적 감청을 막기 위한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군 반대로 계류 중입니다. 현재 기무사의 광범위한 감청을 제어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결국 수사 대상인 기무사가 국방부 TF를 감청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군 댓글 사건 수사를 군에 맡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영상편집 : 이재성)
▶ [기무사 ①] 기무사 "감청은 사실, 합법적 업무"…증거인멸 우려
박원경 기자seagull@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기무사 ①] 기무사, 국방부 TF 감청.."압수수색 미리 알았다"
- [기무사 ②] 군 댓글 수사 '지지부진' 이유 있었다..발목 잡은 기무사
- [기무사 ③] "댓글 문제없다" 장관 보고한 기무사..은폐 의혹까지
- [인터뷰 영상] 사망 신생아 아버지 "병원 측, 직접 사과한 적 없어"
- 이국종 "어차피 곧 끝날 관심 아닌가요?"..외상센터의 민낯
- "배달 사고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 페북에 올린 생일 떡
- "독일 갔다 오시든가" 최순실 '짜증'..웃음 터진 방청객
- 익명의 제보자 "사람들 마구 학살"..집단무덤 발견 충격
- [단독 영상] 구치소 나온 이찬오, 카메라 등장에 '당황'
- 신세경, 전 남자친구 종현 빈소 찾아..하염없이 눈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