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보호 못 받는데..가상화폐 거래소 '해킹 무방비'
<앵커>
방금 들으신 대로 가상 화폐는 법정 통화가 아닌 만큼 투자자들은 구제나 보호를 받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사태처럼 국내 가상 화폐 거래소를 노린 해킹 공격은 올해에만 벌써 네 번째인데 문제는 이런 해킹이 앞으로도 얼마든지 계속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조성현 기자입니다.
<기자>
블록체인 즉 데이터 정보를 분산 저장하는 가상화폐의 기술 기반은 해킹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간 매매를 중개하는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 시스템은 보안이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실제로 2014년 일본 비트코인 거래소 마운트 곡스가 해킹으로 우리 돈 5천억 원의 피해를 본 뒤 파산하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유빗 외에 다른 거래소 두 곳이 올해 해킹 공격을 받아 수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거나 가상화폐를 탈취당하기도 했습니다.
해커들이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과 보안망 관련 정보를 이미 대량으로 축적해 해킹에 본격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가상화폐 거래소가) 큰 돈벌이가 되니까 거래소를 만드는 데 급급했지, 그에 대한 안정성이라던가 보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는 미흡했던 게 사실이거든요.]
가상화폐는 법정 통화가 아닌 만큼 거래소 파산 시 이용자들은 당국의 보호를 전혀 받지 못합니다.
정부는 해킹 사고 예방을 위해 연 매출액 100억 원 이상 또는 하루 평균 방문자 수 100만 이상인 대형 거래소는 내년부터 반드시 정보보안 인증을 받도록 의무화했습니다.
앞으로 해킹 공격이 더 잦아질 수 있는 만큼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금융기관 수준의 보안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영상편집 : 이홍명)
▶ 가상화폐 거래소 '유빗' 해킹으로 파산…피해액 172억
조성현 기자eyebrow@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경찰, '비트코인 사기극' 논란 고교생 신변보호
- 비트코인 1만6천 달러선 하락..해킹·한국 규제 여파
- '가상화폐 해킹' 100% 막기 힘들다는데..정부의 대책은?
- 가상화폐 거래소 유빗, 해킹에 따른 손실로 파산
- "서로 뺨 때려서 팀워크 키워라"..한 회사의 황당 지침
- 홍석천 "연예계에 숨겨진 동생 있다"..방송 중 폭탄 고백
- 4조5천억 '첨단 항공모함' 취역하자마자 바닷물 '콸콸'
- 김현철, 故 종현 주치의 비판 "동료로 인정할 수 없다"
- "이명박 이리 와!" 돌발 상황..축하 모임에서 일어난 일
- 스트레스에 퉁퉁 붓고 살찐 사자들..서커스 '학대 논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