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

윤신영 기자 2017. 12. 19. 08: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공학한림원 선정 100대 미래기술

#1.
인공지능 비서가 틀어주는 피아노 음악에 눈을 뜬다. 예전엔 말도 잘 못 알아듣고 무조건 시끄러운 벨소리만 틀어줬는데 요즘 달라졌다. 내가 일어날 때마다 심장박동이 지나치게 빨라지는 것을 발견한 인공지능이 부드러운 음악으로 바꾼 것이다. 매일 아침 몸의 상태를 원격으로 진단하는 e-헬스케어 시스템의 조언을 받은 게 틀림없다. 침대에서 몸을 일으키자 창문이 열린다. 요즘은 겨울에도 미세먼지가 별로 심하지 않다. 전기차와 수소차가 조금씩 늘며 오염 자체도 줄었고, 대기오염 사전 알림 서비스로 공기 질 관리가 쉬워졌다.

#2
아침을 먹고 직장으로 출발한다. 문 밖으로 나오자 인공지능 비서가 불러 놓은 자율주행차가 멈춘다. 대중교통의 편리함과 자가용의 쾌적함을 동시에 갖춘 차로 출근길이 편안하다. 자율주행차는 도시고속도로에 합류한 뒤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교통 체증이 없는 최적의 길로 직장으로 향한다. 머리 위로 자율비행 개인항공기가 낮게 날아간다. 아직은 치안 유지 등 공공 목적으로 많이 쓰이지만, 개인이 이용할 날도 머지않았다.

#3.
직장인 농장에 도착했다. 얼굴을 인식한 보안 센서가 내 신원을 확인하고 문을 열어준다. 10년 전 사진을 등록했는데도 인식한다. 나이 든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농장이고 공장이고 자동화가 많이 이뤄져 편리하다. 온실 냉난방을 효과적으로 하는 가스히트펌프 덕분에 관리비는 반으로 줄고, 사물인터넷으로 각종 센서와 로봇이 연결돼 손도 많이 줄었다. 디스플레이로 토양의 수분과 영양을 확인한 뒤에 다시 문을 나선다. 일주일 전 건강검진 때 받은 혈액 바이오센서 검사와 체내 미생물 유전체 검사 결과가 나오는 날이다. 병원에 갈 필요는 없다. 의사와의 원격 상담이 기다리고 있으니까.

한국공학한림원은 2025년 한국을 바꿀 100대 미래 기술을 선정, 발표했다.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먼 미래의 일 같지만, 지금 대한민국에서 연구 중인 근미래 기술이 실현될 경우 불과 7년 뒤에 만날 수 있는 풍경이다. 1000여 명의 한국 공학계 원로와 석학, 기업인이 속한 특수법인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은 2025년 대한민국의 가정과 도시 풍경을 바꿀 유망 근미래 기술 100개를 선정하고, 19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100대 기술은 국내 연구팀이 직접 연구를 주도하고 있고 개발이 구체적으로 진척돼 있는 기술들로, 상용화될 경우 7년 뒤 대한민국의 도시와 생활 풍경을 바꿀 핵심 기술을 총망라하고 있다. 한국공학한림원이 100대 미래기술을 선정해 발표한 것은 2013년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다.

이번에 선정된 기술들은 학계와 연구소는 물론 기업에서 연구되고 있는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학술적 의미와 함께 산업과 시장의 관점에서 중요한 기술을 선정한 셈이다. 특히 3개월에 걸쳐 학계 및 기업의 분야별 전문가로부터 1차 추천을 받고, 이어 여러 달에 걸친 자체 선정 위원회 토론을 통해 선정된 만큼 연구 현장의 목소리를 잘 담고 있다.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한국공학한림원 미래기술기획 TF 위원장)는 “각종 미래예측 보고서 등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상을 먼저 그리고, 그에 따라 유망한 기술을 현장에서 추천 받아 산업계의 목소리도 잘 반영돼 있다”고 말했다.

선정된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미래 한국 사회의 경제 성장 동력이 될 산업 기술이 있다.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주축 중 하나인 자동차 분야에서는 친환경 전기자동차가 화두다. 특히 전기자동차 상용화의 열쇠를 쥐고 있는 배터리와 수소전지 기술이 다수 선정됐다. 전기자동차용 고성능 이차전지소재 기술, 고에너지 배터리기술, 수소연료전지차용 스택 리커버리 기술 등이 주목 받았다.

미래의 도시 풍경을 바꿀 교통과 건설 분야의 신기술도 다수 선정됐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LS산전은 무선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열차제어시스템을 선보여 주목 받았고, 고려대와 중앙대 등이 연구하는 자가치유콘크리트는 금이 간 부위를 스스로 메우는 새로운 콘크리트로 미래 도시를 편리하게 관리할 새로운 건설 기술로 꼽혔다.

전기·전자·정보 분야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담당할 또다른 중요 축 중 하나로, 가장 많은 34개 기술이 선정됐다. 크게 반도체와 인공지능, 그리고 빛(광) 기술이 많이 꼽혔다. 뉴럴(신경망) 프로세서, LED 등 디스플레이와 레이저기술이 여럿 선정됐다. 에너지 절감형 OLED 조명 기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도 주목 받았다.

한국공학한림원은 2025년 한국을 바꿀 100대 미래 기술을 선정, 발표했다.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2013년에 비해 올해 특이한 점은 생활과 관련이 있는 기술이 부쩍 많이 선정됐다는 사실이다. 재난,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 기술 등 안전 기술과, 의료 등 건강 관련 기술이 각각 약 70%씩 비중이 늘어났다.

건강을 위한 바이오 헬스 분야와 융복합 소재 분야는 총 22종 선정됐다.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과 컴퓨터 시각(비전) 분야의 대표적 연구자로 선정된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영상미디어연구단장은 “야간에나 조명이 다른 환경에서 본인을 확인하는 기술은 보안은 물론 개인용 케어 로봇이 주인을 인식하게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생체조직공학,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질병 예측 기술 등도 주목 받았다. 간편하게 가정에서 건강을 진단할 수 있는 헬스케어 시스템도 선정됐다.

로봇은 재난 기술이 주목 받았다. 재난 구조용 원격조종로봇 기술, 소방용 로봇 기술 등이 선정됐다.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맞춰 원전 해체기술도 선정됐으며, 보안 분야에서는 포스트 양자암호 기술, 한재준 생체기반 지능형 인증기술이 선정됐다.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