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미만 근로자 13.6% '역대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년간 최저임금은 세 배 가까이 올랐지만 지난해 최저임금을 못 받고 일한 근로자 비중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1년 이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통계청 의뢰로 작성한 '한국 사회동향 2017'에 따르면 지난해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한 근로자의 비중은 13.6%였다.
최저임금 미만율은 2002, 2003년 4.9%에서 2007년 이후 10∼12%를 유지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0代 교육비 비중 18.7% 가장 커.. 학교, 내진성능 확보 10곳중 2곳뿐
[동아일보]
|
17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통계청 의뢰로 작성한 ‘한국 사회동향 2017’에 따르면 지난해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한 근로자의 비중은 13.6%였다. 최저임금 미만율은 2002, 2003년 4.9%에서 2007년 이후 10∼12%를 유지해왔다. 20세 미만과 60세 이상 근로자의 최저임금 미만율이 높았고, 여성의 최저임금 미만율은 남성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연령별 가구소득은 50대가 가장 높았지만 지출은 40대가 가장 많았다. 40대는 교육비 비중(18.7%)이 가장 컸다. 60대 이상은 의료비(11.2%) 및 식비(19.4%) 비율이 다른 연령층보다 특히 높았다.
부모가 자녀 도움 없이 스스로 생활비 문제를 해결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자녀와 같이 사는 비율은 줄었다. 부모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율은 2008년 46.6%에서 지난해 52.6%로 늘어났다. 부모가 자녀와 같이 사는 비율은 2008년 38%에서 지난해 29.2%로 줄고 있었다.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설계 의무화 공공시설물 중에서 내진성능을 확보한 곳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 법률이 정한 전국의 내진설계대상 건축물(10만5448개) 중에서 지난해 기준으로 내진성능을 확보한 곳은 4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시설물 중 내진성능 확보율이 가장 낮은 곳은 학교(23.1%)였다. 원자로 및 관계시설은 98.4%, 댐과 송유관은 100%였다.
아동학대 가해자 중에서는 부모 비율이 가장 높았다. 아동학대 건수는 2012년 아동 10만 명당 66.1건에서 2015년 130.7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세종=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클릭!)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류여해, 홍준표 맹비난..서청원도 "못된것만 배워"
- '컷오프' 류여해 "서울시장 출마 주저앉히려는 것" 눈물 쏟아
- 한국당, 당협 62명 물갈이..바른정당과 화합적 결합 겨냥?
-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4명 사망 이례적" 사과
- 중국과 운명공동체..'환관 권력'에 엮여버렸다
- 주재우 교수 "韓中정상회담, 외교적 결례 당하고 건진 건 없었다"
- 비닐봉지 훔친 알바생 경찰에 신고한 편의점주 영업중단
- '20대는 택시 40대는 소주'.. 성희롱 예방교육서 강사가 부적절 발언 '논란'
- "63년만의 굴욕" 日언론, 한국전 참패에 과거 재조명
- '구속 수감' 이병기 전 국정원장, 아들 결혼식에 옥중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