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KB금융
/자료=KB금융

노후생활을 위해 가구당 최소 월 177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가구가 취미를 즐기면서 지내려면 월 279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준비는 미흡했다.
13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골든라이프연구센터는 20∼74세 성인 2000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노후 최소생활비는 가구당 177만원, 적정 생활비는 251만원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반면 최소생활비를 준비했다고 답변한 이는 전체의 27%에 그쳤다.


부부가구가 노후에 필요한 최소생활비는 182만원, 적정생활비는 279만원이다. 전체가구의 평균 비용(최소생활비 177만원, 적정생활비 251만원)보다 많다.

50대 이상에서도 최소생활비를 마련한 경우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대부분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채 은퇴 연령에 진입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들의 희망 은퇴연령은 65세로 드러났다. 하지만 대부분 부족한 노후생활비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로 일을 하면서 실제로 완전히 은퇴하는 경우는 75세 정도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18.1%는 상속받은 경험이 있으며 상속받을 당시 평균 나이는 41.5세로 파악됐다. 상속받은 자산 규모는 평균 1억6000만원으로 부동산을 물려받은 경우가 전체의 66.9%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예·적금이나 사망보험금, 주식 등 금융자산을 받은 경우는 33.1%, 부채를 상속받은 경우는 5.5%로 조사됐다. 대부분 상속받은 부동산 자산은 그대로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은퇴가구를 대상으로 노후 재무준비와 관련해 가장 후회가 되는 일을 묻자 절반 이상이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더 저축하지 못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일찍부터 창업이나 재취업 준비를 못 한 것', '투자형 금융상품에 더 투자하지 못한 점' 등을 후회한다는 답변은 각각 11.3%로 집계됐다.
/자료=KB금융
/자료=KB금융

◆3층연금 갖춘 가구 34.8%에 불과
노후대비를 위한 연금 보유 상황을 보면 공적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총 3개를 골고루 갖춘 가구는 전체의 34.8%(연금종합형, 절세지향형)에 불과했다.

연금종합형과 절세지향형은 30~50대 가구주, 가구 월 소득 500만원 이상으로 안정적인 소득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 규모도 컸다.

종합지향형(공적연금과 개인연금)과 여력 부족형(공적연금)은 자영업자인 경우가 많았다. 여력 부족형은 27.7%로 가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종합지향형은 월 소득과 가구 금융자산이 상대적으로 큰 50~60대 가구가 대부분 차지했다.

반면 젊은세대가 많은 관심부족형(퇴직연금과 공적연금)은 전문직이나 사무직, 생산 서비스직으로 월평균 소득이 높았지만 개인연금에 대한 관심도가 낮았다.

KB금융 경영연구소는 "그동안 퇴직연금에 가입할 수 없었던 자영업자가 개인형 IRP에 가입하고 있다"며 "앞으로 활성화 정도에 따라 종합지향형 가구가 연금종합형이나 절세지향형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