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중국, 文대통령·리커창 오찬도 거부.. 국빈에 결례

정우상 기자 2017. 12. 12. 03: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대통령 내일 3박 4일간 訪中]
중국, 사드 반대하는 中 입장과 '한국이 이를 인식한다' 표현 요구
한국 수용 못하자 공동성명 무산

한·중은 13~16일 진행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訪中)과 관련해 한·중 관계의 '새로운 출발'이라는 의미를 부여해왔다. 그러나 결국 사드에 대한 중국 측의 계속된 압력과 이견 때문에 정상회담 이후의 '공동성명'(Joint Statement)은 물론 이보다 급(級)이 낮은 '공동 언론 발표문'(Joint Press Statement)도 내지 못하게 됐다. 공동 기자회견도 하지 않기로 했다. 그럼에도 이번 방문 형식은 시진핑 주석 초청으로 이뤄지는 국빈(國賓) 방문으로 돼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역대 우리 대통령이 중국을 국빈 방문한 경우는 일곱 번 있었다. 이 가운데 1차 북핵 위기 중인 1994년 3월 김영삼 전 대통령 국빈 방중 때만 아무런 결과 문서가 없었고, 나머지 여섯 번은 '공동성명'이나 '공동 언론 발표문'이 나왔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모두 취임 첫해 중국을 국빈 방문해서 '한·중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중국 국가주석과 공동 기자회견도 열었다.

1992년 9월 노태우 대통령은 양상쿤(楊尙昆) 당시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한 뒤 '한·중 공동 언론 발표문'을 냈다. 김영삼 대통령은 취임 2년 차인 1994년 3월 중국을 처음 방문해서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 회담했지만 공동 언론 발표문 없이 각자 회담 결과를 설명했다.

양국 관계가 발전하면서 1998년 11월 김대중 전 대통령 국빈 방문 때부터는 한 단계 격이 높은 '공동성명'이 나왔고, 노무현 전 대통령 때부터는 공동 기자회견도 열렸다.

하지만 이번 문 대통령 방중에는 공동성명도, 공동 언론 발표문도 없다. 양국 입장을 각자 정리한 언론 발표문을 각자가 발표하는 선에서 정상회담 결과를 공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이유는 사드에 대한 이견이다. 중국은 공동성명에 사드를 반대하는 중국 정부의 입장과 이를 '인식한다'는 한국 정부 입장을 포함할 것을 요구했지만 한국은 이를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방중 기간에 시 주석 외에도 리커창(李克强) 총리, 우리 국회의장 격인 장더장(張德江)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그리고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당서기와 만난다. 리 총리와 장 위원장은 중국 권력 서열 2, 3위고, 천 서기는 차세대 주자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문 대통령과 리 총리의 15일 회담 일정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애초 계획했던 오찬 면담을 늦은 오후로 연기하는 등 국빈 방문의 격(格)에 맞지 않는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필리핀에서 리 총리와 상견례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오찬을 하면서 '사드 보복' 철회를 우회적으로 요구하는 등 깊은 대화를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국은 결국 늦은 오후로 면담 일정을 통보했고,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의 다른 일정도 함께 순연됐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16일 충칭에서는 천민얼 서기와 오찬 간담회를 갖는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