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지도 포기하지도 않고 '복직의 그날까지' 노래"

2017. 12. 10. 18: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짬】 콜트콜텍 기타노동자 밴드 ‘콜밴’

지난 9일 오후 서울 홍대 앞 한 카페에서 콜트콜텍 기타노동자 밴드 ‘콜밴’이 복직투쟁 10돌 기념음반 쇼케이스를 앞두고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방종운 지회장, 콜밴의 김경봉·이인근·임재춘씨.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이처럼 축하하기 어려운 ‘10주년 기념’이 또 있을까. ‘콜트콜텍 기타노동자 밴드’, 줄여서 ‘콜밴’이라 부르는 밴드가 복직투쟁 10돌을 맞아 기념음반을 제작했다. 이인근(보컬·기타), 김경봉(베이스), 임재춘(카혼) 3인 밴드다.

2007년 4월 인천 부평의 콜트악기 노동자 56명 정리해고, 그해 7월 콜텍 대전 계룡공장 폐업과 노동자 65명 정리해고, 2008년 인천 부평공장 폐업과 남은 노동자 125명 해고. 일방적인 해고에 맞서 투쟁을 결의했을 때 그 싸움이 10년을 넘어갈 거라곤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복직하자마자 정년퇴직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큼 오랜 시간이 흘렀다.

2007년 콜트악기·콜텍 일방폐업에
고공단식·분신·다큐·책 등으로 투쟁
“기타 만든 솜씨니 연주도 잘할 것”
김경봉·이인근·임재춘 ‘콜밴’ 결성

2012년말 첫 공연…5년새 자작곡도
“투쟁 10돌 기념음반 내고 단독공연”

1973년 성수동에서 자본금 200만원으로 사업을 시작한 기타 제조사 콜트악기와 콜텍은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 30%를 차지하는 큰 회사로 성장했다. 이런 성장에는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다. 일하다 창문 밖을 쳐다보면 생산성이 떨어진다며 아예 창문을 없애버린 비인도적 환경에서 무급으로 야근을 밥 먹듯 하며 회사를 성장시켰다. 덕분에 재계 순위 120위의 부자가 된 박영호 사장은 더 싼 임금으로 기타를 생산하겠다고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차리고 일방적으로 한국 공장을 폐업시켰다.

그동안 정리해고와 직장폐쇄에 맞서 콜트콜텍 노동자들은 할 수 있는 모든 걸 다 했다. 두 번의 고공 단식농성, 분신, 연대한 시민과 함께한 무기한 릴레이 단식농성, 해외원정 투쟁,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책 출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투쟁했지만 콜트콜텍 본사와 박 사장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다.

‘콜밴’도 다양한 투쟁 방식의 하나로 탄생했다. 2011년 콜트콜텍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김성균 감독의 다큐멘터리 <꿈의 공장> 상영회에서 스카 밴드 킹스턴 루디스카의 축하공연이 있었다. 공연이 끝난 뒤 킹스턴 루디스카의 매니저 한국진씨가 노동자들에게 “5년 동안 뭘 한 거냐. 악기라도 배워서 음악으로 상황을 전했으면 시민들에게 다가가기가 좀 더 수월하지 않았겠느냐”는 타박 아닌 타박을 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틀린 말은 아니었다. “일반인들은 일반 집회에 거리감을 좀 두잖아요. 문화제 형식을 빌려서 우리의 상황을 알리면 더 낫겠다 싶어서 ‘한번 해보자’가 된 거죠.”

첫 공연은 2012년 12월 서울 마포구 홍대 근처에 있는 클럽 ‘빵’에서 했다. “군대 처음 갔을 때 신병의 자세로 이건 절대 틀리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첫 공연을 마쳤다. “땀은 줄줄 흐르고 앞엔 아무것도 안 보였지만” 5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들은 이제 자작곡을 4곡 가진 밴드가 되었다.

4개의 자작곡엔 10년 동안 싸워온 투쟁의 역사가 모두 담겨 있다. 첫 곡 ‘서초동 점집’에는 “열네명의 검은 망토 점쟁이”란 가사가 등장한다. ‘장래에 다가올 경영상의 위기’ 때문에 정리해고를 시행한 것이 정당하다며 회사 손을 들어준 2014년 대법원 판결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주문’은 김경봉이 집회 때마다 했던 말을 손봐 만든 노래다. “(박 사장이) 노동자의 삶보다 수백 수천 배의 고통 속에 신음하면서 처절하게 살아야 한다”고 주문을 거는 노래다.

‘고공’은 기타를 치는 이인근이 2008년 고공농성 당시를 회상하며 쓴 노래다. “어둠과 밝음이 만날 즈음/ 쇠기둥 가지를 붙잡고 허공으로 올랐다”는 가사는 경험한 이만이 쓸 수 있는 가사다. ‘꿈이 있던가’는 방종운 콜트악기 지회장이 쓴 시에 노래를 입혔다. 방 지회장은 음반 마지막에 직접 쓴 시 ‘싸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를 낭송하기도 했다. “방관하고 모르는 척했던 사람 한 명을 바꾸어 가기에/ 그래서 우리는 지는 것 같아도 이겨왔던 거다”라는 시의 마지막 구절처럼 이들은 계속 투쟁하고 있다.

콜밴은 지난 9일 첫 공연을 했던 카페 빵에서 첫 음반 쇼케이스를 했다.

이들은 지금도 매주 목요일 본사 앞에서 집회하고, 화요일엔 광화문 농성장에서 문화제를 연다. 또 매달 둘째주 목요일에는 천주교 미사를 드리고, 마지막 수요일에는 인디 음악가들과 연대해 클럽 ‘빵’에서 공연을 한다. 방 지회장의 말처럼 이들은 “지치지도 않고 포기하지도 않는다.”

콜밴은 이번 음반에서 민중음악을 하는 연영석의 ‘이씨 니가 시키는 대로 내가 다 할 줄 아냐’를 다시 불렀다. 이들이 클럽 ‘빵’에서 처음 공연할 때 불렀던 노래다. “50시간 60시간 70시간 80시간 뺑이쳤지”란 도입부 가사는 이들이 노동자로 살아온 세월을 대변하는 말이다. 노래 후렴구는 제목과 같다. “이씨 니가 시키는 대로 내가 다 할 줄 아냐.” 이들은 이 구절을 살짝 바꿔 부른다. “박씨 니가 시키는 대로 내가 다 할 줄 아냐.”

김학선 음악평론가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