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근거 없는 소소위서..429조 예산 3명이 '쥐락펴락'
박병현 2017. 12. 6. 20:47
[앵커]
이번 예산안 관련 뉴스를 보시면서 '소소위'라는 단어가 많이 나왔습니다. 생소하실 수도 있습니다. 내년도 예산안 규모는 429조 원에 달하지만 증액과 감액을 결정한 의원은 단 세 명이었습니다. 이른바 '소소위원회'란 곳에서 이뤄진 건데 이 기구는 법적 근거도 없어서 회의록을 남기지도 않습니다. 그 천문학적 돈을 다루면서 이렇게 해도 되는 것인가… 해마다 밀실, 졸속 심사가 되풀이되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박병현 기자입니다.
[기자]
현행 국회법은 예결특위 내 예산안 조정소위원회를 두고 이곳에서 예산 수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여야는 관례적으로 예산안 심사가 막바지에 이르면 이른바 소소위를 가동했습니다.
예결특위 간사들만 참여해 비공개 장소에서 담판을 짓는 식입니다.
신속성과 편의성을 이유로 편법적 방식을 운영해 온 겁니다.
법적 기구가 아니라, 속기록도 남지 않고 결국 밀실, 졸속 심사로 흐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각 당 간사에게 지나치게 권한이 쏠리다 보니 나눠먹기식 예산이 배정 되는 경우도 나옵니다.
일부 간사는 자신의 '지역구 예산을 넣어달라'고 고집을 부리는 바람에 예산안 처리가 늦어지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이른바 소소위 구성을 원천적으로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밤중까지 진통..한국당 불참 속 '결정적 장면들'
- 정부 예산에 '국회분원' 첫 명시..세종시 행정수도 탄력
- 내년 국가 R&D 예산 19.7조원..올해보다 2천억 늘어
- 국민의당 "예산안 통과 환영..국민 위해 집행되길"
- 429조 규모 내년도 예산안 진통 끝 통과..한국당 불참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