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15시간 조사 뒤 귀가..원세훈·김병찬 오늘 소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청와대'가 국가정보원 돈으로 이른바 '진박 감별용' 여론조사를 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재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검찰에 불려와 15시간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검찰은 2012년 대선을 앞두고 국정원 댓글공작 수사를 하면서 사건을 은폐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을 앞서 이날 오전 10시에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박근혜 청와대'가 국가정보원 돈으로 이른바 '진박 감별용' 여론조사를 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재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검찰에 불려와 15시간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28일 검찰에 따르면 박근혜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 뇌물상납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양석조 부장검사)는 전날 오전 10시께 소환한 김 의원을 이날 새벽 1시께 돌려보냈다.
검찰은 청와대가 지난해 4ㆍ13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사 업체를 통해 대구ㆍ경북지역의 여당 후보군 선정을 위한 비공개 여론조사를 벌이고 국정원에서 특활비 5억원을 받아 비용을 치른 것으로 파악했다.
4ㆍ13총선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은 현기환 전 수석이었고, 김 의원은 그 후임으로 지난해 6월 정무수석에 임명됐다. 검찰은 업체에 대금이 지급된 시기에는 김 의원이 정무수석으로 재직했다고 파악하고 있다.
검찰은 김 의원을 상대로 당시 국정원에서 받은 돈의 구체적인 흐름과 비공식 여론조사를 한 경위, 이에 대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개입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이날 오후 3시 이명박정부 시절 국정원이 벌인 각종 정치공작의 핵심 피의자인 원세훈 전 원장을 소환해 조사한다.
원 전 원장이 검찰에 불려나오는 건 지난 9월 이후 약 2달 만이다. 그는 지난 8월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고 수감중이다.
검찰은 2012년 대선을 앞두고 국정원 댓글공작 수사를 하면서 사건을 은폐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을 앞서 이날 오전 10시에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검찰은 김 서장이 경찰의 댓글 수사가 진행되던 2012년 12월 서울지방경찰청 수사2계장을 지내며 수서경찰서로부터 받은 '국정원 여직원'의 노트북을 분석해 당시 박근혜 대선후보를 지지하고 문재인 대선후보를 비방하는 조직적인 여론 조작 정황을 포착하고도 제대로 수사하지 않은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또한 그가 김용판 당시 서울청장 등 지휘라인의 지시에 따라 수서서가 대선을 사흘 앞둔 12월 16일 밤 11시께 "후보자 비방ㆍ지지 댓글ㆍ게시글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거짓 중간수사 결과 발표를 하도록 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의심한다.
김 서장은 이밖에 국정원 여직원의 오피스텔에서 대치 상황이 벌어진 그해 12월 11일 당시 국정원의 서울경찰청 연락관과 40여 차례의 전화통화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등 국정원과 서울청 수뇌부 사이의 '메신저' 역할을 한 의혹도 받는다.
김효진 기자 hjn252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감옥에 있는 줄 알았던 최순실, 석방됐더라"…뒤늦게 알려져 - 아시아경제
- "어린이날 한강공원서 한가로이 개 산책"…윤석열 목격담 또 나와 - 아시아경제
- 재산 때문일까…남친 사망하자 '남친 아빠'와 결혼한 여성에 中 '발칵' - 아시아경제
- 김재원 "한덕수, 1000원짜리 당비 하나 안 낸 분…기호 2번은 김문수" - 아시아경제
- 프랜차이즈 커피에서 벌레 나왔는데…"3900원 입금이 전부였다" 주장한 고객 - 아시아경제
- 너도나도 인증하는 '호텔 망빙', 14만9000원 찍었다…1년 새 18.2% 올라 - 아시아경제
- 한동훈 "당 버리지 않겠다"…지지자들에 당원가입 독려 - 아시아경제
- "통신사 인증 원래 안 써요"…SKT 유심해킹, 부동산 공공시스템은 ‘안전지대’ - 아시아경제
- "유심 교체 770만건, 6월 중순 완료…전화만으로 100% 보상? 안돼"(종합) - 아시아경제
- "이 단어 없는 제품은 안팔려"…유통시장 강타한 건강 트렌드[세계는Z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