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철의 휴먼터치] 강민호 이적으로 본 '프랜차이즈 스타'

안준철 입력 2017. 11. 24. 17: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롯데의 강민호~오오오오."

한 마디로 강민호가 롯데 유니폼을 입고 가장 많은 시간을 그라운드에서 누빈 선수라는 얘기다.

강민호의 이적은 롯데팬뿐만 아니라 많은 야구팬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그만큼 강민호와 롯데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경닷컴 MK스포츠 안준철 기자] “롯데의 강민호~오오오오.”

당장 2018년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들을 수 없는 노래가 됐다. 보니엠의 Rivers of Babylon이 흘러나오면 자동적으로 흥얼거리게 되는. 그런데 이제는 부를 수 없게 됐다. 이 응원가의 주인공은 포수 강민호(32)다. 강민호는 지난 2004년 롯데 2차 3라운드 17순위로 롯데에 입단해 14시즌을 몸담은 명실상부한 프랜차이즈 스타다. 롯데 유니폼을 입고 나선 1495경기는 롯데 프랜차이즈 최다 출장 기록이다. 한 마디로 강민호가 롯데 유니폼을 입고 가장 많은 시간을 그라운드에서 누빈 선수라는 얘기다. 올 시즌 5년 간의 해외생활을 마무리 하고 롯데로 복귀한 이대호(35)는 롯데 유니폼을 입고는 1292경기를 뛰었으니, 강민호의 롯데맨 이미지는 강했다. 마치 자신의 응원가처럼 영원히 ‘롯데의 강민호’로 불릴 듯 했다.

롯데 자이언츠 유니폼을 입은 강민호의 모습을 당장 2018년부터 볼 수 없게 됐다. 사진=MK스포츠 DB
그러나 이제 강민호는 삼성 라이온즈의 안방마님이 됐다. 지난 21일 롯데는 두 번째 FA 자격을 취득한 강민호와 협상 결렬을 알렸다. 협상결렬 소식에 이어 5분여 뒤 삼성은 강민호와 4년 총액 80억원에 계약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롯데팬들은 “이게 실화냐”라며 충격과 허탈함에 휩싸였다. 영원히 롯데 유니폼을 입고 그라운드에 나설 것 같았던 강민호가 삼성 점퍼를 입은 모습에 프랜차이즈 스타와의 작별을 실감했다. 강민호의 이적은 롯데팬뿐만 아니라 많은 야구팬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그만큼 강민호와 롯데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기 때문이다. 강민호의 이적을 둘러싸고는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롯데가 강민호에 제시한 조건이 삼성과 동일하다는 측면에서 삼성과의 계약에 숨겨진 측면이 있지 않냐고 보는 시선도 있고, 또 롯데에 어떤 서운한 점이 있지 않았냐는 추측도 있다.

프로스포츠에는 프랜차이즈가 존재한다. 프랜차이즈 스타는 한 팀을 대표하는 이름이다. 팀을 대표하는 이름뿐만 아니라, 팬들의 영웅이기도 하고, 한 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혹자는 그 팀의 심장이라고까지 한다.

특히 야구에서 프랜차이즈 스타의 이미지는 강하다. 상대적으로 다른 종목에 비해 프로 데뷔를 한 팀에서 쭉 뛰며 은퇴까지 하는 선수들이 많다. 물론 아무나 프랜차이즈 스타 대접을 받는 것은 아니다. 어느 정도 실력 면에서도 리그를 호령하는 위치여야 프랜차이즈 스타로 인정받는다. 실력이 달리면, 그냥 원클럽맨 정도로 여겨진다.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도 한 팀에서 뛰며, 리그를 대표하며, 자신의 소속팀을 우승으로 이끈 숱한 선수들이 있다. 최근 뉴욕 양키스에서 은퇴한 데릭 지터, 마리아노 리베라 같은 이들이다. 물론 메이저리그에서도 한 팀에서만 선수생활을 하는 프랜차이즈 스타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FA시기가 한국과 달리 6년이라, 스몰마켓팀들은 프랜차이즈 스타들을 붙들기 힘든 현실이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주는 곳으로 팀을 옮기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꼭 한 팀에서만 뛴 선수만 프랜차이즈 스타로 대접받는 것은 아니다. 삼성 레전드로 불리는 양준혁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도 해태(현 KIA), LG를 거쳐 다시 삼성으로 돌아간 케이스다. 또 엄격하게 따지면, 해외로 나갔다 다시 돌아온 선수들도 프랜차이즈라고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보통 프랜차이즈 스타라 하면 국내 구단을 기준으로 삼는다.

어쨌든 강민호의 삼성행을 통해 프랜차이즈 스타가 이슈가 됐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 주는 곳으로 팀을 옮기는 것을 뭐라 할 수는 없다. 구단의 프랜차이즈 스타에 대한 대접, 그리고 프랜차이즈 스타 스스로 느끼는 책임감과 자부심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jcan1231@maekyung.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