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포항지진 발생깊이 3~7 km..경주지진과 단층 움직임 달라"(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상청은 23일 포항지진의 정밀분석 결과 당초 발표결과와 달리 발생깊이는 9 ㎞가 아니라 3~7 ㎞가 정확한 결과라고 밝혔다.
또 현재까지 조사 결과 경주지진과 단층 움직임이 다르고 발생깊이도 상대적으로 얕아 연관성이 떨어진다고 전했다.
기상청은 포항지진의 본진 발생깊이는 3~7㎞, 규모 4.3의 여진은 6~7km, 나머지 여진은 2~3㎞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청 "이동식 지진관측소 설치해 규모 2.0 이하 지진 정밀분석"
|
기상청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동으로 포항지진과 주요 여진에 대해 정밀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15일 기상청은 규모 5.4의 포항 본진의 진앙지는 북위 36.12, 동경 129.36이라고 발표했다. 정밀분석 결과 정확한 진앙지는 남동쪽으로 약 1.5km 이동한 북위 36.109, 동경 129.366이라고 정정했다. 지진의 발생위치는 지진파의 도달시각의 분석차이와 가정된 속도구조의 한계 등으로 인해 일정범위의 오차(약 2km)를 포함한다.
또 규모 5.4의 포항지진을 일으킨 단층의 움직임은 경주지진 단층의 움직임이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경주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에서도 벗어나 있는 양상을 보인다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경주 지진에 비해 수직운동 성분이 더 큰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과 역단층”이라면서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경주지진과 큰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기상청은 포항지진의 본진 발생깊이는 3~7㎞, 규모 4.3의 여진은 6~7km, 나머지 여진은 2~3㎞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경주지진의 발생깊이(11~16㎞)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포항지진의 본진이 발생한 후 규모 2.0 이상의 여진은 총 63회 발생했고 규모 1.0~2.0의 미소지진은 총 273회 발생했다.
기상청과 지자연은 지진발생지 인근에 이동식 지진관측소를 추가로 설치해 관측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규모 2.0 이하의 미소지진에 대해서도 추가 정말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
한정선 (pilgr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능 전날 급성 맹장염 수술..'병상 투혼' 발휘한 간호사 지망생
- 김정숙 여사 내조외교..우즈벡, '고려인 정착 지원'에 감사
- 이국종, 귀순 北병사 인권논란에 자부심과 명예로 버텼다
- 래퍼 도끼, 4억 페라리로 '대포차 불법 유통' 일당 검거
- 수능 연기 1주일 동안 가장 많이 팔린 문제지는?
- 조세휘, '미스 유니버스' 예선서 하얀 비키니로 건강미 과시
- 묻지마 대학진학, 청년 취업난 부추긴 원흉중 하나
- 김영주 주 68시간 근로 인정한 행정해석, 文정부가 사과(종합)
- 간판을 바꾼다고 국정원이 달라질까
- [영상]'조기 품절' 평창 롱패딩 인기..올림픽으로 이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