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신규사업 진출 국내기업 고작 0.65%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기업 중 0.65%만이 4차 산업혁명 분야 신규 사업에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기준 기업 활동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 총 1만2472개 중 지난해 4차 산업 분야 신규 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81개(전체의 0.65%)다.
4차 산업 분야에 신규 진출한 기업의 56%(46개)는 제조업이다.
4차 산업 분야를 포함해 지난해 신규 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239개(전체의 1.91%)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기업 중 0.65%만이 4차 산업혁명 분야 신규 사업에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기준 기업 활동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 총 1만2472개 중 지난해 4차 산업 분야 신규 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81개(전체의 0.65%)다.
통계청은 매년 상용근로자 50인 이상이면서 자본금이 3억원 이상인 회사법인의 활동을 조사해 발표한다. 최근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이번 통계를 처음 만들었다.
통계청은 전문가 의견을 참조해 4차 산업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무인운송 △3D 프린팅 △로봇공학 △나노소재 △바이오산업 △빅데이터 △청정에너지 △기타 등 10개 분야로 분류했다.
신규 진출한 4차 산업 분야는 바이오산업(18.6%), 빅데이터(17.5%), 사물인터넷(13.4%) 순으로 집계됐다. 청정에너지(8.2%), 인공지능(7.2%), 로봇공학(6.2%), 3D 프린팅(5.2%) 등이 뒤를 이었다.
4차 산업 분야에 신규 진출한 기업의 56%(46개)는 제조업이다. 23%(19개)는 출판·영상·방송·통신업 분야 기업이었다.
4차 산업 분야를 포함해 지난해 신규 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239개(전체의 1.91%)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5.2%), 출판영상통신업(17.6%), 기타서비스업(10.5%), 도소매업(6.7%)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R&D)에 지속 투자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매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R&D를 수행하는 기업(금융보험업 제외)은 총 5947개로 전년(5876개)보다 1.2% 늘었다. 이들이 R&D에 투자한 비용은 43조5000억원으로 2.8% 증가했다. 기업 당 R&D 비용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73억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R&D 기업의 기업 당 매출액은 2651억원으로 조사대상 전체 기업 당 매출액의 1.5배 수준이며 전년대비 1.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11년간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한 기업의 기업 당 매출액은 조사 대상 전체 기업 당 매출액의 3.0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대상 기업 중 국외에 자회사를 운영하는 기업은 2814개로 집계됐다. 보유 자회사수는 8125개로 전년대비 1.0% 감소했다. 지난해까지 꾸준하게 늘어나던 중국 자회사수는 지난해 감소 전환한 반면 베트남, 인도는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지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주력사업 운영에 변동이 있는 기업체는 484개로 변동유형은 확장(49.6%), 축소(37.4%), 이전(13.0%) 순으로 나타났다. 연봉제, 성과급 등 성과보상관리제를 도입·운영하는 기업은 82.2%로, 전년대비 0.9%P 증가해 6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8년, 전기차 300킬로미터 이상 주행시대 돌입..대부분 한국산 배터리 채택
- 제네시스 G80 다운사이징으로 라인업 확대..2.0터보·2.2디젤 도입
- 삼성전자, 아이폰X 견제..국내 첫 '아이폰 고객' 대상 이벤트
- 삼성이 만든 LED 영화관, 시네마 본고장 유럽 첫 진출
- 양자, 운명의 일주일..예타·특별법 분수령
- 범정부 디지털산업 컨트롤타워 설립..규제 패스트트랙 도입
- 생기원, OLED 포스트패터닝 기술 개발.. '조명, 패키징 부가가치 높여'
- 연구실 스타트업이 열처리장비용 단열재료 국산화
- 공진형 무선충전 업체들 '고난의 세월'..시장 개화 늦어 '버티기'
- 블루홀, 배틀그라운드로 200억원대 적자서 1년만에 2000억원대 흑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