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통합 로그인' 서비스 오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카드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로그인 절차를 간소화한 '통합 로그인'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신청한 고객은 앱 마다 로그인하는 불필요한 절차 없이도, 현대카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이번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을 향후 다양한 비즈니스에 적용해 고객 편의성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서비스는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전자 서명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현대카드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로그인 절차를 간소화한 '통합 로그인'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현대카드는 '현대카드' 애플리케이션(앱)과 'M포인트몰', '마이메뉴(MY MENU)' 앱에 이 서비스를 적용했다. 이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앱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처럼 유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상호교차 인증' 방식을 도입, 별도 앱이나 제한된 채널을 통해야만 하는 절차 대신, 고객이 처음 접속한 앱의 로그인 상태가 다른 앱에도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했다.
보안성은 강화됐다. PC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모바일 기기로 복사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없어, 보안 토큰의 노출이나 인증서의 위변조 가능성을 차단했다. 블록체인의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 덕분에 해킹의 위험성도 덜어냈다고 현대카드는 설명했다.
신청방법은 간단하다. 간단한 인증 절차를 통해, 통합비밀번호 6자리를 설정하면 된다. 신청한 고객은 앱 마다 로그인하는 불필요한 절차 없이도, 현대카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이번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을 향후 다양한 비즈니스에 적용해 고객 편의성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서비스는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전자 서명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했다. 또 보안영역에 저장된 개인 인증서를 사용하는 '코인플러그'의 특허기술을 추가해, 보안을 다중으로 강화했다.
코인플러그는 개인인증, 문서인증 등 블록체인 기술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블록체인과 연관된 12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처가와 인연 끊겠다는 이승기 "장인 위법 행위, 참담한 심정" - 아시아경제
- "SKT 유심해킹, 공포감이 유심 사재기로 이어져...현금인출 불가능" - 아시아경제
- 이상한 냄새에 침대 밑 봤더니 '경악'…혼자 온 女 관광객 노린 日괴한 - 아시아경제
- 다 지었는데 주인이 없다… 11년 만에 최다, 텅 빈 불 꺼진 새 아파트 - 아시아경제
- 이준석 '학식 먹자' 플랫폼 "4050 남성들이 여대생인 척" - 아시아경제
- "같이 살아도 잠자리는 NO 바람은 OK"… 中 '우정결혼' 유행 - 아시아경제
- "무료로 찍어드려요" 믿었는데 촬영 끝나자 돌변…추가금 폭탄 맞았다 - 아시아경제
- "저렴한 국산은 먹지도 않아요"…가격 올려도 韓 펫시장 독주하는 佛기업 - 아시아경제
- "1장에 15만원, VVIP만 연락 주세요"…유심대란에 황당 게시글까지 - 아시아경제
- 홍준표 측, 한덕수·이준석 '하버드 연대'에 "가능성 없어" 일축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