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보다 낮고 유럽보다 높은' 원전 내진설계 기준

입력 2017. 11. 18. 09: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8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은 해당 지역의 과거 지진 발생 빈도와 규모에 따라 결정하기 때문에 나라마다 다르다.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은 우리보다 큰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보다는 낮지만, 지진활동 빈도와 규모가 유사한 국가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높다는 게 한수원 설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진 빈도·규모 따라 다르지만 "충분치 않다"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8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은 해당 지역의 과거 지진 발생 빈도와 규모에 따라 결정하기 때문에 나라마다 다르다.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은 우리보다 큰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보다는 낮지만, 지진활동 빈도와 규모가 유사한 국가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높다는 게 한수원 설명이다.

국내 원전은 부지반경 320km 이내 지역의 과거 지진기록과 지질특성을 조사해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 강도를 산정하고 여기에 여유를 둬 최대지반가속도 0.2g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했다.

내진설계 값 단위인 최대지반가속도는 원전 건물에 미치는 실제 지진의 힘으로 통상 0.2g는 규모 6.5 수준의 지진을, 0.3g는 7.0 수준의 지진을 의미한다.

가장 최근에 상업운전을 시작한 신고리 3호와 그 뒤로 짓고 있는 원전의 내진설계는 0.3g다.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는 예외적으로 규모 7.4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지진 발생 시 원자로를 정지하고 냉각하는 핵심설비인 안전정지유지계통에 대해 내진성능을 0.3g 수준으로 보강하고 있다.

원전 24기 중 21기는 이미 내진성능 보강이 완료된 상태이며, 남은 3기는 내년 6월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지진다발지역인 일본(0.37~0.6g)이나 미국 서부(0.2~0.75g), 대만(0.3~0.4g)은 국내보다 높은 내진설계 기준을 채택했다.

반면, 영국(0.13~0.25g), 프랑스(0.1~0.3g), 미국 중·동부(0.1~0.25g) 등 우리나라와 지진활동 빈도와 규모가 유사한 나라의 기준은 국내와 비슷하거나 낮다.

고리원전 이틀간 지진 안전점검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16일 부산 기장군 신고리원전 1·2호기에서 제3발전소 직원들이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15일 경북 포항 일대에서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으나 고리원전 대표 지진값은 0.003g(리히터규모 2.9 수준)로 나타났다. C급 비상경보 발령기준은 0.01g(리히터규모 4.0)이다. 고리원전은 이틀간 C급 비상경보 수준으로 주요설비에 대해 안전점검을 벌였고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2017.11.16 ccho@yna.co.kr

한수원은 원전이 엄격한 설계 특성 덕분에 내진설계 기준을 초과한 지진도 큰 피해 없이 견딘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2007년 일본 니가타 지진(규모 6.8)이 발생한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은 설계 기준(0.28g)보다 높은 지진동(0.69g)이 발생했고, 2011년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으로 노스애나 원전은 설계 기준(0.12g)을 초과하는 지진동(0.255g)을 겪었지만, 발전소는 안전하게 유지됐다.

한수원은 "세계적으로 지진에 의한 원전 안전정지계통의 손상이나 방사능 누출 등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한 사례는 없다"며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지진 후에 발생한 쓰나미로 발전소가 침수되고 전력 공급이 상실돼 발생한 인재로 인한 사고"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해 경주지진에 이어 올해 포항지진으로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며 더 강력한 지진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과거 지진기록을 바탕으로 결정한 내진설계 기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정부도 지난달 24일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결정에 대한 보완조치로 원전 안전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내진설계 보강 작업을 내년 6월까지 조속히 마무리하는 것은 물론 작년 경주지진 이후 시작한 단층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원전 내진설계 기준을 상향하고 내진보강 조치 등을 추가로 할 계획이다.

[표] 국가별 원전 내진설계 기준

(출처: 한국수력원자력)

bluekey@yna.co.kr

☞ 조종사가 하늘에 '남성 상징' 외설적 형상 그려 적발
☞ 피의 살육 일삼은 伊마피아 수괴, 종신형 복역 중 사망
☞ 청탁금지법 선물상한선 농축수산물만 10만원 개정?
☞ 北장마당 암호 '오늘 뭐 맛있는 거 있어요'는 무슨 뜻?
☞ 여름에 많이 찾던 겨드랑이 필수품…겨울에도 인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