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메모리 세계시장 석권한 한국기업들 특허건수도 '최다'

대전=허재구 기자 2017. 11. 14. 13: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가 세계 반도체 메모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는 가운데 관련 분야 특허도 가장 많이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의 설계·생산·패키징을 포함한 제조 기술 분야의 국내 특허출원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5년간 연평균 4000여 건씩 총 2만665건 출원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허청, 국내외 특허출원 동향 발표

우리나라가 세계 반도체 메모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는 가운데 관련 분야 특허도 가장 많이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의 설계·생산·패키징을 포함한 제조 기술 분야의 국내 특허출원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5년간 연평균 4000여 건씩 총 2만665건 출원됐다.

다출원 기업으로는 삼성전자(4388건, 21.2%)와 SK하이닉스(3739건, 18.1%)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고 인텔(759건, 3.7%), TSMC(572건, 2.8%), 마이크론(357건, 1.7%), 웨스턴디지털(150건, 0.7%), 도시바(140건, 0.7%)가 그 뒤를 이었다.

올해 2분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 시장의 업체별 점유율(자료: IHS Markit)./자료제공=특허청

국내기업은 '설계'에서 '완제품'까지 제조공정 전반에 걸쳐 세분화된 요소기술들을 대거 출원한 반면 국내에 생산설비가 없는 외국기업은 '구조적 설계' 위주의 기술들을 선별, 소량 출원했다.

대형 특허분쟁의 격전지인 미국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국내 특허건수의 약 3배에 달하는 5만8838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다출원 기업으로는 SK하이닉스(2594건), 삼성전자(2566건), 도시바(2289건), 마이크론(2120건), IBM(1977건), 웨스턴디지털(1289건), 인텔(1008건) 순을 보였다.

미국에서도 국내기업들이 선두를 다투며 1, 2위를 차지했다.

이들 기업들의 미국특허 출원건수는 2011년 417건에 불과했지만 2012년 1154건, 2013년 3933건으로 급증한 후 2014년 4188건, 2015년 4151건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60년 동안 대용량 스토리지 시장을 지배했던 하드디스크(HDD)가 SSD(Solid State Drive)로 교체되면서 SSD에 탑재되는 낸드 플래시 관련 특허(5616건)이 최근 3년간 집중적으로 출원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마정윤 특허청 전자부품심사팀장은 "국내기업들이 적층형 3D D램 및 3D 낸드 플래시 특허를 미리 선점하고 제품을 양산·판매하면서 해외 반도체 제조사들의 기술 경쟁을 유도하는 식으로 반도체 메모리 시장의 판도를 이끌고 있다" 며 "4차 산업혁명의 하드웨어적 핵심 요소인 반도체 메모리의 수요는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기업들의 지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전=허재구 기자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