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북한, 중국·러시아 노동자에 연말까지 귀국 지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에서 일하는 자국 노동자 17만 명에 대해 기본적으로 연말까지 귀국하라고 지시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0일 서울발로 보도했다.
아사히는 북한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이렇게 전하며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노동자를 앞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중국의 봉제공장과 식당 등에 12만 명, 러시아 목재 벌채 현장 등에 5만 명의 노동자를 파견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에서 일하는 자국 노동자 17만 명에 대해 기본적으로 연말까지 귀국하라고 지시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0일 서울발로 보도했다.
아사히는 북한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이렇게 전하며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노동자를 앞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중국의 봉제공장과 식당 등에 12만 명, 러시아 목재 벌채 현장 등에 5만 명의 노동자를 파견하고 있다.
북한은 공동사업을 하는 중국 측 회사의 사정을 고려해 연말까지 중국에서 일하는 노동자 8만 명을 귀국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내년 중 철수시킬 계획이다. 또 러시아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대부분 연말까지 귀국시킬 방침이다.
북한은 해외노동 수출로 연간 2억3천만달러(약 2천566억원)의 외화 수입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평균 급여는 러시아 600달러(약 66만9천원), 중국 400~500달러(약 44만6천원~55만8천원) 수준으로, 충성자금 명목으로 북한에 송금하는 돈을 제외하면 노동자 본인은 월 100달러(약 11만2천원) 정도를 벌어들이고 있다.
중국은 9월11일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받아들여 120일 이내에 북한 기업과 개인이 중국에서 설립한 기업 등의 폐쇄를 지시한 바 있다.
아사히는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단둥(丹東) 등에서는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봉제공장 등에서 이런 지시의 영향이 미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bkkim@yna.co.kr
- ☞ 훈련중 쓰러진 이병, 병원 이송중 차량 전도…끝내 사망
- ☞ "트럼프, 호텔방에 '여성 5명 보내주겠다' 제안 거절"
- ☞ 조선이 명나라에 바친 여성 114명의 삶은 어떠했을까
- ☞ "신신당부했는데"…3살 유치원생, 샌드위치 먹고 쇼크사
- ☞ 대표 관광지 서촌서 음식점 강제집행 '충돌'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尹 탄핵심판 선고일 방청신청 폭주…20석에 수만명 몰려 | 연합뉴스
- 주한미군, '계엄에 미군 투입 가능' SNS 주장에 "허위 정보" | 연합뉴스
- 故장제원 전 의원 부산 해운대백병원에 빈소…2일부터 조문(종합) | 연합뉴스
- 방콕지진서 무너지는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가족 구하려" | 연합뉴스
- 외신 '만우절 기사' 찾기 어려워졌다…"가짜뉴스의 시대라서" | 연합뉴스
- '지브리 프사 해볼까'…이미지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 역대 최다 | 연합뉴스
- 머스크, '13번째 자녀' 확인 소송 중 "친자검사 반대는 안해" | 연합뉴스
- 아낌없이 내어준 엄마·아빠에게 전하는 인사 "폭싹 속았수다" | 연합뉴스
-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 동아시아축구연맹도 이끈다 | 연합뉴스
- 여의도 증권사 건물서 직원 추락해 숨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