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3일 (토)
이주여성 고위험 신생아 출산율, 한국 여성보다 높아

이주여성 고위험 신생아 출산율, 한국 여성보다 높아

기사승인 2017-11-08 14:03:17 업데이트 2017-11-08 14:03:24
이주여성들이 한국 여성에 비해 미숙아나 저체중아 등 고위험 신생아 출산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인규 교수(주저자)와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교신저자)는 한국 여성에 비해 중국과 필리핀, 베트남 등 아시아권 이주여성의 고위험 신생아 출산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 결과를 담은 ‘대한민국 남성과 결혼한 이주 여성의 출산결과(Birth outcomes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native men in the Republic of Korea: a population register based study)’ 논문은 BMJ open 저널에 발표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미숙아, 저체중출생아, 과숙아 출산위험은 필리핀 출신 여성이, 거대아 출산위험(odds ratio)은 중국 출신 여성이 높았다. 필리핀 여성은 한국 여성에 비해 미숙아 출산 위험이 약 1.5배, 저체중출생아 출산위험과 과숙아 출산위험은 각각 약 1.7배, 1.8배였고, 중국 여성의 거대아 출산위험은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고위험 신생아 출산은 영양상태, 생활습관, 산전관리 등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에 좌우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아시아권 이주여성의 임신 기간 건강관리가 부실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송인규 교수는 “결혼이주여성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아시아권 이주여성의 대부분은 입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임신 및 출산을 준비한다”며 “새로운 환경 적응과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언어장벽 등으로 인한 의료접근성 저하가 그 원인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연구 표준데이터의 규모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출생된 단태아 177만여 명의 통계청 출생 자료를 토대로 한 대규모 연구 ▲그동안 논의됐던 미숙아, 저체중출생아를 넘어 과숙아, 거대아로 범주를 확대한 첫 연구 ▲산모 나이, 출산 횟수 등 출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보정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송인규 교수는 “이전 연구들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임신 기간 중 영양공급이 부실하고 제대로 된 정보를 얻지 못했다는 이주여성들이 많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느끼게 됐다”며 “출산 예정일까지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적절한 시기에 산전 관리를 받을 수 있다면, 고위험신생아의 출산 비율은 낮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85억원대 금융사고 터졌다…이번엔 KB국민·하나은행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에서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총 85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국민은행에선 21억원 가량의 사고 1건이, 하나은행에선 64억원에 이르는 3건의 사고가 터졌다.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20억745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피해 금액은 20억7450만4000원으로 손실예상금액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금융사고 내용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다. 부산 지역에서 대출사기 일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