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혁신기업 '일자리 르네상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거대 테크(기술) 기업들이 성장과 일자리에서 세계경제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아마존·구글·페이스북 등 테크 기업들은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사업을 잇따라 개척해 매출을 늘리는 것은 물론 엄청난 숫자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미국 CNN은 "아마존은 올해 미국 내에서만 10만명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었다"면서 "물류센터 직원들과 아마존 고객센터 직원들의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테크기업의 신사업 투자·매출 증가가 고용창출로 이어져
미국 거대 테크(기술) 기업들이 성장과 일자리에서 세계경제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아마존·구글·페이스북 등 테크 기업들은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사업을 잇따라 개척해 매출을 늘리는 것은 물론 엄청난 숫자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26일(현지 시각) "9월 말 현재 직원 수가 전 세계 54만1900명으로 1년간 23만5100명 늘었다"면서 "연말 쇼핑 시즌 같은 극성수기에 임시 고용한 12만명은 제외한 수치"라고 밝혔다. 미국 CNN은 "아마존은 올해 미국 내에서만 10만명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었다"면서 "물류센터 직원들과 아마존 고객센터 직원들의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아마존보다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미국 기업은 세계 최대 유통 기업 월마트(230만명)뿐이다. 아마존의 직원 수는 미국 최대 자동차 기업 GM(22만명)의 두 배가 넘고, 미국 최대 가전업체 월풀(10만명)의 다섯 배가 넘는다.
아마존은 내년 초 제2 본사 건립을 추진하면서 또다시 대규모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아마존 제2 본사에는 직원 5만명 이상이 상주하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에도 15만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19일 마감된 아마존의 북미 제2 본사 유치 입찰에는 미국·캐나다·멕시코 등의 도시 238곳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 구글은 최근 1년간 직원 수를 12%(8147명),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은 43%(6163명) 늘렸다. 구글은 자율주행차 자회사인 웨이모, 사물인터넷(IoT) 자회사인 네스트, 인공지능 사업 등 미래 성장 동력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연구 인력을 계속 늘리고 있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이용자가 20억명을 넘어서며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모니터링 인력 확충에 나서고 있다.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테크 기업들은 오프라인 산업을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 끊임없이 신사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성장이 있는 곳에 일자리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기 팔고 기술 안 주는 해외 방산… “절충 교역 손 봐야” 지적
- 항암 주사 1~2분 만에 편리하게…韓알테오젠 기술로 美 허가
- 韓, 2분기 대미 관세 33억달러로 세계 6위… 증가 속도 가장 빨라
- [단독] 고급 무한리필 ‘모던샤브하우스’ 美 진출… 해외시장 도전하는 썬앳푸드
- [세종풍향계] 사무관은 재경부, 과장은 예산처 선호…기재부 새판짜기 셈법
- ‘마포·성동·강동’ 아파트 신고가 경신... 토허제 등 규제 전 막차 수요 몰려
- 셀트리온, 유럽 피부과 시장 정조준…천식·두드러기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
- [재테크 레시피] 모임통장도 진화한다… 우리 모임에 꼭 맞는 혜택은
- “아스피린, 대장암 재발 위험 55% 낮춘다”
- 트럼프, 전문직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에… 美기업들 “해외 체류자 즉각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