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 훔치려던 여대생, 이젠 1억 기부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분유를 들었다 놓기를 여러 번, 주머니는 텅 비어 있었지만 굶고 있는 아기를 생각하면 돌아설 수가 없었다.
'몰래 가방에 넣어 가면 모르지 않을까.' 스물두 살 대학생이던 남미화 씨(36·여)가 잘못된 선택을 하기 직전, 가게 주인이 말을 건넸다.
"주위의 도움이 없었다면 저는 지금 전혀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지도 몰라요. 그렇게 생각하면 후원도 봉사도 전혀 힘들지 않아요." 남 씨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
틈틈이 복지시설을 찾아 기타 연주 봉사활동을 하는 남미화 씨. 그는 “주위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과 전혀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 것”이라며 매달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해 160만 원을 후원하고 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공 |
남 씨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자퇴했다. 뇌출혈로 지체장애가 생긴 어머니를 보살펴야 했다. 섬유공장에 취직해 생활비를 벌면서 작가의 꿈을 키워갔다. 뒤늦게 고졸 검정고시를 거쳐 한 대학 국문학과에 입학했지만 이듬해에 아버지까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형편은 더 어려워졌다.
당시 대학원생이던 지금의 남편을 만나 결혼했다. 아르바이트로 번 생활비 70만 원은 방세를 내고 교통비를 쓰고 나면 감쪽같이 사라졌다. 지역 유지의 자서전을 대필해주는 일을 하면서 그나마 형편이 차츰 나아졌다. 글 솜씨를 인정받아 퇴임 연설을 다듬어 달라고 요청하는 공직자나 단체장이 생겼다.
하지만 4년 전 또 한 번 고비가 찾아왔다. 우울증을 앓던 둘째 언니가 조카와 함께 숨을 끊었다. 그들의 시신을 발견한 게 남 씨였다. 시도 때도 없이 그들의 마지막 모습이 떠올랐다. 그때 남편이 “항상 낮은 곳을 보며 살자는 초심을 잊지 말자”고 얘기했다. 남 씨는 그 순간 깨달음을 얻었다. 다른 이의 인생을 글로 옮기다 보면 ‘나도 이렇게 베풀며 살아야지’라고 생각할 때가 많았는데, 더 미룰 이유가 없었다.
남 씨는 지난해 2월부터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160만 원을 후원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5년간 총 1억 원을 기부할 예정이다. 세 아이를 키우는 동시에 대필 작업을 하다가도 짬이 나면 복지시설을 찾아가 기타 연주 봉사활동을 한다. 그의 모습을 보고 자란 열 살배기 둘째 아들은 최근 돼지저금통을 인근 복지센터에 가져다줬다. 남 씨가 후원하는 중학교 3학년 여자아이가 어느 날 보내온 100점짜리 성적표를 보고 내 아이의 일처럼 기뻐하는 순간, 그를 괴롭히던 환각이 사라졌다.
“주위의 도움이 없었다면 저는 지금 전혀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지도 몰라요. 그렇게 생각하면 후원도 봉사도 전혀 힘들지 않아요.” 남 씨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의 고액후원자 모임 ‘그린노블클럽’ 참여를 희망하는 후원자는 재단 상담센터(1588-1940, www.childfund.or.kr)로 문의하면 된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中왕이, 北부스 지나치더니..'북한 패싱, 한국 환대'
- 고속으로 달리면 앞이 안보이는 해군 단정
- 검찰, 'MBC 방송제작 불법관여' 김재철 등 압수수색
- '차기 부산시장' 여론조사서 3위 조국, 2위 서병수..1위는?
- "지금의 한국교회, 루터가 봤다면 통탄할 것" 소강석 목사 일침
- 골프중 공에 눈 맞아..골프장-가해자 책임 100% "2억여원 배상해야"
- 訪美 태영호 '경호팀-방탄차 호위'..美국무부, 24시간 '특급 밀착경호'
- 北, 3000t급 잠수함 '진정한 게임체인저' 코앞..'대응 불가'
- '2020년 최저임금 시급 1만 원'을 앞두고 나타난 '무인 편의점'
- "지도교수 부당지시 거부했더니.. 돌아온 건 잡일 그리고 비아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