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레나강을 가다] 1920년대 '골드러시', 조선인들도 뿌리내려.. 천혜의 풍경 '새 희망'
레나강을 건너간 우리는 먼저 니즈니 베스탸흐 철도역으로 갔다. 니즈니 베스탸흐 역은 현재로선 야쿠티아 간선철도의 최북단 철도역으로서, 남으로 톰모트, 알단, 네륜그리, 베르카키트 역을 거쳐 틴다에서 바이칼∼아무르 간선철도와 접속된다. 철도역사에는 승객들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역장의 설명에 따르면, 니즈니 베스탸흐∼톰모트 구간은 2014년에 임시 개통되어 여객 차량은 아직 운송되지 않고 있고 석유제품과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화물열차만 다니고 있다. 1985년에 베르카키트∼톰모트∼야쿠츠크 구간 철도 건설이 시작되어 베르카키트에서 니즈니 베스탸흐까지 약 800㎞의 철도가 건설되는 데 거의 20년이 걸렸다. 수많은 강과 개천, 타이가 수림, 영구동토지대, 혹한 등 다양한 자연적인 악조건을 극복하고 이루어낸 성과였다.
사하공화국 수도 야쿠츠크시에서 레나강을 건너면 니즈니 베스탸흐 역사가 있다. 역사 전면에서 이번 한국탐사단이 기념촬영을 했다. |
이색적인 ‘푸른 들판과 얼음덩어리’ 야쿠츠크시 남쪽에 있는 영구동토지대 불루스에서는 푸른 나무와 초지 바로 앞에 얼음 덩어리가 펼쳐지는 이색적인 풍경을 볼 수 있다. 불루스는 야쿠트어로 ‘빙하, 얼음덩어리’라는 뜻으로 한여름임에도 저지대에 옅은 옥색의 거대한 얼음덩어리가 남아 있다. |
마침내 우리는 연방 도로 M56을 타고 알단을 향해 달리기 시작했다. M56 연방 도로는 아무르주 북부 네베르라는 마을에서 시작되어 북으로 틴다, 네륜그리, 알단을 거쳐 니즈니 베스탸흐까지 1156㎞, 그리고 니즈니 베스탸흐에서 동쪽으로 마가단까지 2032㎞를 이어주는 사하공화국의 대동맥이다. 이 도로는 많은 강과 하천을 지나고 또 영구동토대에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봄에 강과 하천이 범람하고 여름에 동토가 녹으면 곳곳이 진창이 되어 많은 사고가 났었다. 그런데 2010년부터 구간 보수 및 아스팔트 포장공사가 시작되어 2022년까지 아스팔트 포장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한다. 마을에서 가까운 도로, 포장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고른 아스팔트 길을 달릴 때는 충분한 속도를 낼 수 있었고, 좌우로 휙휙 지나가는 자작나무 숲과 길가에 지천으로 자라있는 분홍색 이반 차이 꽃, 멀리 보이는 작은 호수와 개울, 도로 옆으로 나란히 지나는 철로 등은 아름답고 평온하게 보였다. 다만 비포장도로를 달릴 때는 마주 오는 차에 의해 날아오르는 먼지 기둥에 앞이 완전히 가려져 위험하기도 했다. 그 먼지는 차의 문틈으로 새어 들어올 정도로 입자가 작아 옷에 묻으면 잘 털리지도 않았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햇볕과 바람, 물, 그리고 타이가 수풀의 뿌리에 의해 아주 곱게 부서져 휘날리는 먼지는 인간이 파헤친 타이가의 속살이자 상처라는 생각이 들었다.
니즈니 베스탸흐에서 남쪽으로 518㎞ 거리에 위치한 알단에 밤 9시쯤 도착했다. 도시 초입에서 군청 관계자들이 우리를 맞이해 우리가 묵을 ‘러시아연방 스키선수훈련센터’로 안내했다. 센터는 스키경기장과 관중석, 호텔과 트레이닝 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10월에 완공되었다. 호텔 시설은 수준급이었다. 알단은 사하공화국 내 다른 곳에 비해 덜 추운 데다 가장 일찍 눈이 오고 또 늦게 녹는 곳이라 스키선수들에게는 최적의 연습과 경기 장소로 알려져 있다. 다음 날 아침 일찍 나가 보니 호텔 옆 숲속에서 스키 스틱을 든 10여명의 어린아이들이 코치의 지도로 열심히 몸동작 연습을 하고 있었다. 겨울에 있을 경기에 대비해 무더운 여름부터 훈련을 하는 것이었다.
알단시 군청서 브리핑 알단시 군청에서 알단시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있는 한국외대탐사단. |
알단이라는 말은 황금을 뜻하는 튀르크어 ‘알탄, 알틴’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단이라는 도시 명칭은 레나강 우측 지류로 길이가 2273㎞인 알단강에서 따온 것이다. 1923년에 알단강에서 가장 큰 금 매장지가 발견되어 네자메트니라는 마을이 형성되었고, 그 소식이 러시아 전역에 알려지자 사방에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1923년 10월 350명이던 마을 인구는 1년 후 3700명으로 불어났고 그해 말에는 5000명에 달했다. 금을 캐기 위해 모여든 사람은 러시아인과 야쿠트인뿐 아니라 중국인, 조선인도 있었다. 1939년에 그 마을을 도시로 조직하고 알단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현재 알단시 인구는 약 2만1000명이며, 알단군 전체 인구는 4만9000명이다.
김민수 한국외국어대 러시아연구소 교수 |
김민수 한국외국어대 러시아연구소 교수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