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DMZ 안간다..'김정은 자극' 역효과 우려

2017. 10. 24. 08: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반도 정세에서 중대 분수령이 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내달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의 초점은 북한ㆍ북핵문제에 맞춰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 방문에서는 북핵 저지 및 추가도발 억제 공조를 강조하고, 중국에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의 제재에 더해 독자제재를 촉구한다는 구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고위관계자 “한국에서만 국회 연설”
-통상카드 활용해 中 대북독자제재 촉구할 듯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반도 정세에서 중대 분수령이 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내달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의 초점은 북한ㆍ북핵문제에 맞춰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 방문에서는 북핵 저지 및 추가도발 억제 공조를 강조하고, 중국에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의 제재에 더해 독자제재를 촉구한다는 구상이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순방 브리핑에서 북한 핵ㆍ미사일 문제와 관련, “지난 25년간 한반도의 지속적인 안정을 위해 북핵 프로그램 폐지 협상을 했지만, 미국과 세계는 속았고 유엔은 굴욕을 당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북한에 문이 열려 있다고 신호를 보냈지만,… ‘올리브 가지’(화해 신호)에 돌아온 것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포함한 20번의 탄도미사일 도발과 오토 웜비어 사망, 미국인 억류, 김정남 살인 등이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사진=게티이미지]

이어 “북한 이슈의 본질과 세계가 처한 딜레마를 보라”면서 “만약 북한 위협에 대한 대응과 반전에 실패한다면 우리는 더욱 어두운 시대에 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과 관련, 7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8일 국회 연설, 국립묘지 참배 등을 소개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방문국 중 한국에서만 국회 연설을 한다는 점에서 유일무이하며 아주 특별한 방문”이라며 “양국의 지속적인 동맹관계와 우정을 축하하고, 북한에 대한 최대의 압박에 국제사회의 동참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 기간 애초 예상됐던 비무장지대(DMZ) 대신 경기도 평택의 미군기지 캠프 험프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아직 일정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험프리 미군기지를 방문할 가능성이 크다”며 DMZ와 캠프 험프리를 모두 방문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는 과도하게 북한을 자극하고 한반도 긴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방문 때도 납북피해자 가족을 만나는 등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가진 30분간 전화통화에서 중의원 압승을 축하한 뒤 대북 압박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미일정상 간 유례없는 밀월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양 정상은 골프회동 등을 통해 친밀감을 한껏 과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통해 ‘1인 독주체제’를 공고히 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의 백미가 될 전망이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중국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동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훨씬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대북 독자제재를 촉구할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교역과 환율조작 등 통상문제를 활용해 중국을 압박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대중 경제관계에 있어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것은 엄청난 적자”라며 “약탈자적 무역과 투자 관행, 중국시장 진입장벽 문제 등 시정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으로서는 미중 정상 간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보복문제를 논의할지도 관심이다.

이 관계자는 “그것이 얼마나 부당한 것인지 중국에 솔직하게 설명했다”며 “이는 순전히 방어 시스템으로 중국의 전략적 이해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