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직 파업.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지난 6월21일 서울 중구 정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학교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학교비정규직 파업.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지난 6월21일 서울 중구 정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학교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5~26일 '근속수당 쟁취' '최저임금 무력화 저지' '비정규직 철폐'를 요구하는 총파업 대회를 진행한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사거리에서, 26일에는 전국 시·도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대회'를 개최한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조의 최소한의 요구인 '2년차부터 근속수당 3만원' 제도를 올해 우선 도입해 학교비정규직 차별 해소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교육부와 교육청의 전향적 태도를 촉구하며 25일 전까지 노사가 신뢰하는 마음으로 총파업을 막을 교섭을 진행할 것"이라며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최소한의 처우를 보장하지 않는 교육청과 교육부의 태도에 변화가 없을 때에는 25일부터 총파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교육부, 15개 시·도교육청과 전국학비연대회의는 현재 첫 임금 집단교섭을 진행 중에 있다. 지난 8월18일부터 현재까지 총 4차례 이뤄진 교섭은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별다른 진전 없이 중단됐다.

학교비정규직은 '2년차부터 근속수당 연 3만원 인상'과 '통상임금 산정시간 축소 논의 불가'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교육 당국은 통상임금 산정 시간을 현행 243시간(주 6일 기준)에서 209시간(주 5일 기준)으로 줄이면 근속수당 인상 요구안을 수용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