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박근혜 정부 '현대판 고려장' 논란..노인장기요양등급 의도적 낮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정부 동안, 몸이 불편한 노인들까지 의도적으로 장기요양등급을 하향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노인장기요양보험등급은 판정시 인정기간을 정해지고 기간이 지나면 재심사를 통해 갱신된다.
1년에서 4년 반의 인정기간 동안 만성중증환자인 1, 2등급 노인 3만여명이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 없을 정도로 건강해지는 비정상적인 일이 일어난 것.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근혜정부 동안, 몸이 불편한 노인들까지 의도적으로 장기요양등급을 하향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인구가 급증하며 요양비용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커짐에 따라 노인환자가 방치되거나 장기입원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행됐다.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및 64세미만의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다.
24일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등급 인정자의 비율은 2008년 26.8%에서 2017년 7.6%로 급격히 감소했다. 또 2등급 인정자의 비율은 27.2%에서 13.9%로 절반으로 감소했다.
이는 노인인구가 2008년 507만명에서 2016년 677만명으로 33% 증가한 것과는 상이한 결과이다. 5만7396명이었던 1등급 인정자수는 4만3049명으로 줄었다.
또 최근 5년간 1, 2등급 갱신대상자 중 3만2236명이 3등급 이하로 등급이 하락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등급은 판정시 인정기간을 정해지고 기간이 지나면 재심사를 통해 갱신된다. 1년에서 4년 반의 인정기간 동안 만성중증환자인 1, 2등급 노인 3만여명이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 없을 정도로 건강해지는 비정상적인 일이 일어난 것.
반면 1, 2등급에서 등급이 하락된 노인 중 91%가 지원이 끊긴 이후에도 시설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설급여가 끊긴 노인들이 도움없이 생활할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해져서 등급하향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증거다.
전혜숙 의원은 “실제로는 가정 내에서 케어가 불가능한 중증환자임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장기요양등급 하향판정이 이뤄진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보건복지부는 등급하락자들의 상태가 독립생활이 가능한 정도로 호전된 것인지 재확인하고 갱신판정심사과정에서 미비한 점은 없었는지 제도를 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ktae9@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대통령, 취임 한 달…경제는 보폭 키우고 국정 생중계로 소통 확대
- 가계빚 폭증에...한은, 기준금리 속도 조절 나설까
- 野, 혁신 메시지에도 우려의 목소리…변수는 ‘安 혁신위’
- [속보]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관련사 동시다발 압수수색 개시
- 李대통령, 오늘 오전 10시 ‘취임 30일’ 기자회견…“사전조율 없이 일문일답”
- 취득세 감면, 악성 미분양 해법 될까…찬반 의견 엇갈려
- 토양오염 방치한 영풍 석포제련소…또 행정처분, 폐쇄론 힘 받나
- 공급 과잉 하늘길에 출사표…파라타항공의 ‘생존 비행’ 시작된다
- ‘맛있고 건강하게’…뚜레쥬르·파리바게뜨·신세계푸드, 건강빵 각축전
- 삼성·현대·포스코 ‘5조 클럽’ 돌파…상반기 도시정비 3강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