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의 장기집권인가? 후계자 선출방식 변경인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 10. 22. 17: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중앙위 전체회의 앞두고 유력 후계자 후춘화.천민얼
상무위원 명단서 빠질 듯.. 계파간 권력균형 안배 전망

中 중앙위 전체회의 앞두고 유력 후계자 후춘화.천민얼
상무위원 명단서 빠질 듯.. 계파간 권력균형 안배 전망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부 구성에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상무위원에 후춘화와 천민얼이 제외되고 왕후닝 당 중앙전책연구실 주임과 자오러지 중앙조직부장이 진입하는 관측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후계자 선정 관련 시 주석의 장기집권 가능성과 '격대지정(중국 지도자가 한 세대를 건너뛰어 그다음 세대 지도자를 미리 지정하는 것)' 전통이 깨지고 새로운 후계자 선정 방식이 도입될 것이란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계파 안배설…후춘화.천민얼 제외 전망

상무위원 선출이 계파간 균형을 맞추는 선에서 적절한 안배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와 관련,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2일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가 폐막한 다음 날인 25일 열리는 1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부인 상무위원에 유력한 후보였던 후춘화와 천민얼 대신 왕후닝 당 중앙정책연구실 주임과 자오러지 중앙조직부장이 진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다른 상무위원들로는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 리잔수 당 중앙판공청 주임, 한정 상하이시 서기, 왕양 부총리 등이 꼽혔다. 이 같은 명단은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보쉰이 전망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우선 '7상 8하(67세는 유임, 68세는 퇴임)' 원칙에 따라 시 주석의 최측근인 왕치산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는 퇴임할 것으로 관측됐다.

주목할 점은 전반적으로 상무위원 선출에 계파간 권력균형을 위한 안배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상무위원 진입에 유력할 것으로 관측됐던 후춘화와 천민얼 모두 탈락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 주석의 후계자로 거론돼온 천민얼 충칭시 서기가 경력 부족으로 상무위원에 진출하지 못하지만, 공청단의 대표 주자인 후춘화 광둥성 서기도 진입에 실패하는 게 이러한 관측의 배경에 따른 것이다.

후진타오 전 주석의 정치적 기반인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출신인 리커창 총리가 유임되고 시 주석의 최측근인 왕치산이 당의 관례를 깨지 않고 퇴임하는 점도 이같은 배경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진핑 이을 차기후계자 선정 방식 바뀌나

상무위원 선출에 이어 시 주석의 권력강화 여부도 핵심 관심사다. 상무위원 선출이 계파안배에 따라 확정될 경우 시 주석의 장기집권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과 기존의 후계구도 방식의 새로운 변화가 일 것이란 두 가지 가능성이 맞서고 있다.

우선, 천민얼과 후춘화 탈락이라는 시나리오는 결과적으로 시 주석이 중국 공산당의 불문율인 '격대지정'의 전통을 깨뜨린다는 것을 뜻한다. 격대지정은 중국 지도자가 한 세대를 건너뛰어 그 다음 세대 지도자를 미리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덩샤오핑은 장쩌민 전 주석을 이을 후진타오를 미리 낙점했고, 후진타오는 시 주석을 이을 지도자로 후춘화와 쑨정차이를 지정한 바 있다. 그러나 쑨정차이 전 충칭시 서기는 지난 7월 부패 혐의로 낙마했다. 나머지 잠재적 후계자인 후춘화와 시 주석의 최측근인 천민얼 등 두 명의 차기후계자마저 상무위원에 진입하지 못할 경우 이번 대회에선 시 주석의 후계자가 나오지 않게 되는 셈이다. 이를 두고 기존의 격대지정 전통이 깨지고 시 주석이 당 주석직에 올라 2022년 10년 임기를 마친 후에도 장기 집권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반면, 기존 격대지정 방식을 대체하는 새로운 후계자 선정 방식이 도입될 것이란 반론도 나온다. 기존에는 7명의 상무위원이라는 인재풀 내에서 차기후계자를 낙점하는 식이었다면 총 25명에 달하는 정치국원들을 후계자 풀로 삼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차기 후계자 풀을 넓혀 치열한 경쟁을 통해 후계자로서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란 설명이다.

jjack3@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