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임산부석 시행 2년, 여전히 '눈치석'인 이유는?

윤영현 기자 2017. 10. 19. 18: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비 엄마인 임산부들이 활동하는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임산부를 배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홍색 '임산부석'이 만들어진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대중교통에서 여전히 임산부들은 눈칫밥을 먹으며 일반 시민이 앉아 있는 임산부석 앞에서 서성이다 내리기 일쑤입니다.

■ 임산부 10명 중 4명, "임산부석 양보받은 적 없다"

정부는 지난 2013년 수도권 지하철 열차 한 칸당 2석씩 총 7,100개의 임산부석을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배려 문화가 정착되지 않자 서울시는 2년 전부터 임산부석을 분홍색으로 바꾸고 지난해에는 지하철 2호선과 5호선 임산부석 바닥에 '내일의 주인공을 위한 자리입니다'라는 문구도 넣었습니다.

이 같은 변화에도 임산부석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인식은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임산부 3,212명과 일반인 7,4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임산부의 60.2%만 '배려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2015년(58.3%)과 2016년(59.1%)에 실시한 같은 설문조사 결과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임산부 10명 중 4명은 임산부석 양보 등을 비롯한 배려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편리한 대중교통? 임산부들에겐 조심스럽고 힘든 시간

통계에 따르면 임산부의 70% 정도는 임신 기간 허리 통증에 시달립니다. 배가 나오면서 몸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허리에 부담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방광이 태아에게 눌려 배뇨장애를 겪거나 위장이 압박돼 소화불량에 시달리는 임산부도 많습니다. 또 혈액순환 저하로 빈혈이나 하지부종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4월 시사교양 프로그램 'SBS 스페셜'에서는 직접 임산부의 입장에서 출퇴근과 육아, 가사노동을 체험해 본 남성들의 이야기를 다뤘는데요. 임신 9개월 차 아내와 똑같이 6kg~10kg의 임신 체험복을 입고 회사에 출퇴근 한 37살 김창용 씨는 임산부 체험 이후 "아내가 대단하다"며 "이 과정을 겪어주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말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같은 임산부 체험에 참여한 엄태영 수원시장은 "임산부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에 보다 세심한 정책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배지 달면 나을까요?"…임산부석 앞에 두고 눈치 보는 예비 엄마들

임산부들의 고충은 이만저만이 아니지만, 예비 엄마들과 출산을 거친 엄마들 사이에서는 임산부석이 '눈치석'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옵니다.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임산부를 비롯한 교통 약자를 위해 좌석을 비워달라는 권고 방송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 임산부석이 비어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임산부들은 임산부석에 앉을 여건이 안 되면 노약자석으로 가지만 고령층의 달갑지 않은 시선을 받을 때도 많다고 말합니다. 임신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임산부 배지를 다는 경우도 있지만 큰 효과는 없다는 게 임산부들의 생각입니다. 특히 배가 많이 나오지 않은 초기 임산부들의 경우 임산부석 양보는 기대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시민 의식 변해야…임산부석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부 시민들은 "임산부석을 꼭 비워둬야 하는지 몰랐다"고 말합니다. "비었을 때는 앉았다가 임산부가 오면 일어서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의 의식 변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삼식 박사는 SBS 라디오 프로그램 시사전망대에서 "우리나라는 경로 문화가 전통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노인을 우대하고 양보하는 문화가 잘돼 있지만 임산부는 젊다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며 "임산부석 등 임산부를 배려하는 부분에 대한 시민의식을 상당히 뒤처져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삼식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 늦어지면서 늦게 출산하는 경우가 많아 유산 가능성도 큽니다. 출퇴근 길 지하철은 임산부들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임산부석 양보 문제는 생명을 다루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기존의 임산부석이 보완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좌석을 분홍색으로 칠하고 배려석이라고 표시한 뒤 '임산부를 배려했다'는 정부의 정책은 임산부들의 실질적 고충을 해소하지 못한 탁상행정일 수 있다는 겁니다. 임산부 배지 등 기존에 시행 중인 정책도 모르는 사람이 많은 만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또, 스마트폰 무선 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해 '임산부 승객이 탑승하였으니 자리를 양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멘트가 송출되도록 하자는 시민 의견도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임산부의 고충에 먼저 귀 기울여 임산부석의 실효성을 높이고 시민의 배려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획·구성: 윤영현, 장아람 / 디자인: 김은정) 

윤영현 기자yoo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