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美대통령 1박2일 국빈방문, 품격있는 나라에서 있는 일이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박 2일 방한 일정과 관련해 "일본은 2박 3일로 가는데 전 세계 초미의 관심사인 한반도 문제 당사국인 한국에서는 짧게 머무는 일정이다. 여러 측면에서 좋지 않은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세한 내용을 언급하면 정말 속이 상하고 나라 체면이 말이 아니어서 참겠지만 딱 한 대목만 말하겠다. 1박 2일 국빈 방문이 품격있는 나라에서 있는 일이냐"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설승은 기자 =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박 2일 방한 일정과 관련해 "일본은 2박 3일로 가는데 전 세계 초미의 관심사인 한반도 문제 당사국인 한국에서는 짧게 머무는 일정이다. 여러 측면에서 좋지 않은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세한 내용을 언급하면 정말 속이 상하고 나라 체면이 말이 아니어서 참겠지만 딱 한 대목만 말하겠다. 1박 2일 국빈 방문이 품격있는 나라에서 있는 일이냐"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게다가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한미동맹 강화와 동북아 정책 비전을 말할 것'이라고 했는데 백악관은 '최대의 대북 압박을 얘기한다'고 해 엇박자가 나고 있다"며 "바로 3주 후면 서울에서 펼쳐질 일이다. 제발 유능해져라. 우리 국민의 자존심을 위해 제대로 해주길 바랄 뿐"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체제와 관련, "상식이 비상식을 이기고 원칙이 편법을 이긴다"며 "청와대에서 공석인 재판관부터 정하고 나중에 헌재소장을 지명하겠다는 것은 말을 잘 듣는지를 보고 지명하겠다는 유치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대통령에게도 한 말씀 드린다. 눈치 보지 말고 빨리 (지명)하라"며 "그간 대통령이 자초한 혼란을 깔끔하게 인정하고, 김이수 헌재소장 권한대행에게 사과하지 말고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안 대표는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정책에 대해서도 "지금도 최저임금을 감당 못 하는 자영업자, 영세기업이 많다"며 "생색은 정부가 (내고), 영세업자와 비정규직 알바생이 분쟁을 벌인다. 을과 을이 분쟁을 벌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은 한 번 해보고 속도 조절하자고 했는데 국가는 실험실이 아니고 국민은 실험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jbryoo@yna.co.kr
- ☞ 박 前대통령측 "바닥에서 자며 인권침해"…유엔에 문제제기
- ☞ '공한증' 떨친 中축구, 이젠 한국에 공포의 대상?
- ☞ '호랑이 선생님' 황치훈, 11년 뇌출혈 투병 끝 별세
- ☞ 마당서 콩 털던 시어머니, 며느리 몰던 차에 치여 숨져
- ☞ 경찰관 보자마자 '와락' 껴안은 할머니…이유는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사귀자며 20대 여성 부모 돈 100억원 가로채…징역 20년 | 연합뉴스
- 3번째 음주운전 '장군의 아들' 박상민 2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 연합뉴스
- '이연복 국밥', 세균수 기준 부적합 판정…판매 중단·회수 | 연합뉴스
- "1만원 줄게" 하굣길 초등생 꾀어 데려가려 한 70대 검찰 송치 | 연합뉴스
- [팩트체크] '대프리카'는 이제 옛말…한국에서 가장 더운 곳은 어딜까 | 연합뉴스
- 100세에 마라톤 완주하고 뺑소니 사고로 114세에 눈감다 | 연합뉴스
- 생후 3개월 딸 100만원에 팔아넘긴 친모, 항소심도 징역 1년 | 연합뉴스
- 무기 지원은 '멜라니아 요원' 덕?…美영부인에 우크라 환호 | 연합뉴스
- 제주 고교생 카페 여성화장실서 몰카…휴대전화에 동영상 여러개(종합) | 연합뉴스
- '폼페이의 저주' 통했나…나치 약탈 모자이크 80년만의 귀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