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읽기] 올드정치 염증·변화 갈망.. 유럽 30대 구원투수 뜬다

조효석 기자 입력 2017. 10. 17.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럽에 '30대 젊은 정치' 바람이 이어지고 있다.

기존 정치권을 향한 염증이 커지고 변화를 향한 열망이 확산되면서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젊은 지도자가 각광을 받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젊은 지도자 배출' 현상을 거세진 유권자들의 변화 요구와 정치 참여 열기에 유럽의 정당정치가 '응답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또 "유럽의 젊은 지도자들은 10대부터 적극적으로 정치활동을 해온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정치문화의 발전 없이 단편적으로 '젊은 지도자' 현상만 추종하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실화된 '젊은 기수론' 왜?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젊은 지도자들이 잇따라 배출되고 있다.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동시에 변화에 대한 염원이 확산되면서 기성 정당들이 젊은 지도자를 적극 내세우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왼쪽부터 위리 라타스 에스토니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세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국민당 대표, 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 볼로디미르 그로이스만 우크라이나 총리, 샤를 미셸 벨기에 총리. 국민일보DB

유럽에 ‘30대 젊은 정치’ 바람이 이어지고 있다. 기존 정치권을 향한 염증이 커지고 변화를 향한 열망이 확산되면서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젊은 지도자가 각광을 받는 모습이다. 30대 정치인들은 정책적으로 유연할 뿐만 아니라 ‘방송맞춤형’으로 불릴 만큼 이미지 정치에도 능숙하다는 게 강점이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젊은 지도자 배출’ 현상을 거세진 유권자들의 변화 요구와 정치 참여 열기에 유럽의 정당정치가 ‘응답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15일(현지시간) 치러진 오스트리아 총선에서 만 31세의 세바스티안 쿠르츠 국민당(OeVP) 대표가 승리하면서 또 한 명의 30대 지도자가 탄생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젊은 지도자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보다도 어리다. 쿠르츠 대표가 취임하면 유럽연합(EU) 회원 28개국 수반의 평균연령은 52세가 돼 40대쪽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된다. 9년 전 평균연령은 55세였다.

유럽에선 지난 5월 취임한 에마뉘엘 마크롱(39) 프랑스 대통령과 샤를 미셸(41·취임 당시 38세) 벨기에 총리가 이미 현역 지도자로 활동 중이다. 볼로디미르 그로이스만(39·취임 당시 38세) 우크라이나 총리, 위리 라타스(39·취임 당시 38세) 에스토니아 총리, 지난 6월 선출된 리오 버라드커(38) 아일랜드 총리도 30대 지도자다. 이탈리아에서도 대안당인 오성운동의 루이지 디마이오(31) 대표가 차기 총리 주자 중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이들 젊은 지도자는 기존 정당의 ‘구세주’로 떠오르거나 신흥 정치세력을 이끌고 있다. 쿠르츠 대표는 지난 5월 국민당 대표로 취임한 뒤 3위에 머물던 당 지지율을 순식간에 1위로 끌어올렸다. 중도우파인 국민당의 안정적 이미지에 대중에 만연한 반이민 정서까지 끌어들여 보수·극우표를 함께 묶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치권 밖에서 신선한 인물을 대거 끌어들인 점은 지난 6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신생정당 앙마르슈를 이끌고 총선 승리를 이끈 사례와도 닮아 있다.

이미지 정치에 능숙하다는 점도 이들의 공통점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7월 일부러 유서 깊은 파리 베르사유궁에서 상·하원을 소집해 국정연설을 하면서 드라마틱한 장면을 연출했다. 쿠르츠 대표 역시 24세였던 2010년 시 의회 선거에서 당의 상징색인 검정 험비 차량에 올라 ‘검정은 당신을 멋지게 만든다’는 구호로 중앙 정계에 이름을 알렸다. 미셸 벨기에 총리는 2014년 활동가들로부터 마요네즈를 맞는 수모를 당하고도 “마요네즈 냄새가 날지 모른다”는 유머로 능숙하게 받아넘기는 등 침착한 대응으로 박수를 받았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 역시 인도계 이민자인 약점을 오히려 ‘참신한 인물’임을 강조하는 데 적극 활용했다.

젊은 지도자 바람은 유럽 바깥에서도 분다. 이미 세계 젊은 지도자의 상징이 된 쥐스탱 트뤼도(45) 캐나다 총리가 대표적이다. 일본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아들인 고이즈미 신지로(36)가 집권 자민당의 ‘얼굴’ 역할을 하며 차기 총리감으로 부각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럽에서 젊은 정치인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건 그간 탄탄히 기초를 쌓아온 정당정치의 힘이 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장석준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기획위원은 “유럽의 기성 정당들은 금융위기 이후 변화 요구가 커지자 ‘리더 정치인’들의 연령을 낮춰 대응했다”면서 “단순히 정치혐오에 따른 현상이기보다는 젊은 세대가 정치에 적극 참여한 데 부응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유럽의 젊은 지도자들은 10대부터 적극적으로 정치활동을 해온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정치문화의 발전 없이 단편적으로 ‘젊은 지도자’ 현상만 추종하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