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쓰는법’ 무엇? 관계·성별에 따라 작성법 다르다

(사진=네이버백과사전)
(사진=네이버백과사전)

추석을 하루 앞두고 지방쓰는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며 붓을 이용해 한자로 적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적는 경우도 있다.

고인의 이름을 한지에 적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나 한지가 없다면 백지 또는 창호지에 써도 무방하다.

또 제사지내는 사람 사이에 관계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진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작성한다.

부모님 제사는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하나에 이름을 같이 작성하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조상의 경우에도 성별에 따라 이름 쓰는 위치가 다르다.

또 제사가 끝난 후에는 소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신문인터넷 김수정 기자 (kims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