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운용, 스포츠 역사의 '완판스타'...영원한 '별'이 되다

입력 2017-10-03 11:09  

`한국스포츠 거목`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3일 오전 타계
김운용, 2000년 시드니올림픽 개회식 남북 동시 입장도 성사



김운용 사망 소식이 전해져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한국스포츠의 거목`으로 평가받는 김운용 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이 3일 오전 노환으로 타계했기 때문. 향년 86세.

김운용 타계는 이 때문에 주요 포털 핫이슈로 떠올랐다.

김운용 전 부위원장은 전날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다가 3일 오전 2시 21분 별세했다고 고인 측이 알렸다.

김운용 전 부위원장은 1986년 IOC 위원에 선출된 뒤 대한체육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IOC 집행위원과 부위원장을 지내면서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 등 국제대회 유치 등에 기여한 한국스포츠의 큰 별이었다.

김운용 전 부위원장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 개회식 때는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 선수단 동시 입장이라는 역사를 끌어냈다.

특히 `태권도계 대부`로 평가받는 김운용 전 부위원장은 1971년부터 대한태권도협회장을 맡아 세계태권도연맹(WTF) 창설하는 등 태권도의 세계화를 주도했다.

국기원장도 지낸 김운용 부위워장은 실제 태권도가 시범종목을 거쳐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김운용 전 부위원장은 IOC 위원으로 선출된 뒤 능숙한 외국어와 폭넓은 대인관계를 통해 국제 스포츠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2001년에는 `스포츠계 대통령`으로 불리는 IOC 위원장 선거에도 출마했었다.

그러나 1999년에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스캔들`에 연루돼 IOC로부터 엄중 경고를 받는 등 순탄치 않은 길을 걷기도 했다.

2003년 체코 프라하에서 벌어졌던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투표과정에서는 강원도 평창의 유치 `방해설`이 대두하면서 국회 청문회에도 출석했었다.

그러다가 2004년 2월 체육회와 세계태권도연맹 운영 과정에서 횡령 등의 죄목으로 수감돼 사실상 국제 체육계를 떠나게 됐다.

고인의 빈소는 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며 장례절차는 유족이 협의 중이다.

김운용 이미지 = 연합뉴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