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양은냄비, 건강엔 괜찮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찌그러진 양은냄비는 추억의 산물이다.
요즘도 일부 식당에선 다양한 찌개를 양은냄비에 담아낸다.
추억의 맛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양은냄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양은냄비는 알루미늄에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입힌 냄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찌그러진 양은냄비는 추억의 산물이다. 요즘도 일부 식당에선 다양한 찌개를 양은냄비에 담아낸다. 추억의 맛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양은냄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양은냄비는 알루미늄에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입힌 냄비다. 열전도율이 높아 음식물이 빨리 끓는 장점이 있다. 과거엔 이런 장점 때문에 널리 쓰였지만 현재는 건강상의 우려로 폭넓게 사용되지 않지만 어렵잖게 만날 수 있다.
피막 벗겨진 양은냄비는 버려야
양은냄비는 알루미늄이 용출될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올바른 알루미늄 식기 사용법’을 살펴보면 양은냄비의 피막이 벗겨지면 알루미늄이 용출될 수 있어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한다. 또 토마토나 양배추 등 산도(pH)가 낮은 식품을 조리해도 알루미늄이 용출될 수 있다. 매실절임이나 간장, 된장 등 산이나 염분을 많이 함유한 식품도 알루미늄 용기를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산이 많은 식품 사용 시 알루미늄 용출
야외에서 고기 구울 때 빠지지 않는 알루미늄 호일도 마찬가지다. 산이 많은 김치 등을 함께 구우면 알루미늄이 용출될 수 있다. 의식 없는 과거의 행동이 현재 건강을 해치고 있던 셈이다. 알루미늄은 체내 흡수가 적고 대부분 신장에 의해 체외 배출되지만 과다 노출 시에는 구토, 설사, 메스꺼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양은냄비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싶다면
양은냄비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표면의 피막이 벗겨지지 않게 금속수세미나 날카로운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 음식 조리 시에도 금속 재질 대신에 목재 등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해 피막을 보호해야 한다. 물론 피막이 벗겨졌다면 과감히 버려야 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루미늄 냄비에 토마토·양배추 조리하면 안되는 이유
- 알루미늄용기 사용방법, 식초·젓갈 보관했다가 중금속 노출?
- '3일 다이어트' 도전해볼까? "수월한데 효과도 좋아"
- “‘이것’ 끊었더니, 2주만 8kg 빠졌다”… 박해준, 어떻게 뺐을까?
- “오스카 뒤풀이서 환각제 나눠줬다”… 당당하게 밝힌 美 유명 코미디언, 이유 들어 보니?
- 전지현, ‘11자 복근’ 공개… 기쁠 때, 슬플 때 안 가리고 ‘이 운동’ 하는 게 비결?!
- “의외로 바다서 ‘이것’ 즐긴다” 신민아… 자칫하다간 피부 늙는다는데?
- 맥주효모·비오틴, “머리카락 난다”는 광고에 속지 마세요… 원래 효능은?
- 나나, 운동 후엔 바로 ‘이것’ 마신다… 몸매 유지에 효과적?
- 신약 개발도 AI로? 대웅제약·JW중외제약, 연구 ‘잰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