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잠금해제] 무수한 '말 걸기'의 역사, '아이 캔 스피크' / 오혜진

2017. 10. 1. 17: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위안부' 문제를 다룬 짧지 않은 서사의 계보가 있다.

반일감정을 자극하며 가부장적 민족공동체에 호소하기, 보편적인 휴머니즘에 기대 '위안부' 문제를 참혹한 전쟁범죄로 고발하기, 차마 재현될 수 없는 여성의 고통과 피해의 경험을 강조해 후세의 죄책감과 책임의식을 촉구하기. 나름의 서사적 조건을 반영한 이 서사들은 각각 이전 '위안부' 서사의 정치적·윤리적·미학적 쟁점을 계승·극복하는 방식으로 '위안부' 서사의 계보를 형성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오혜진
문화연구자

‘위안부’ 문제를 다룬 짧지 않은 서사의 계보가 있다. 반일감정을 자극하며 가부장적 민족공동체에 호소하기, 보편적인 휴머니즘에 기대 ‘위안부’ 문제를 참혹한 전쟁범죄로 고발하기, 차마 재현될 수 없는 여성의 고통과 피해의 경험을 강조해 후세의 죄책감과 책임의식을 촉구하기…. 나름의 서사적 조건을 반영한 이 서사들은 각각 이전 ‘위안부’ 서사의 정치적·윤리적·미학적 쟁점을 계승·극복하는 방식으로 ‘위안부’ 서사의 계보를 형성해왔다.

그런 면에서 최근 또 하나의 ‘위안부’ 서사로 화제가 된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의미심장하다. 이 제목은 ‘말한다는 것’이 ‘위안부’ 서사가 지닌 정치성의 강력한 동력이자 서사적 결절점일 수 있음을 깊이 의식하고 있다. 이는 빙의나 신들림, 트라우마나 정신분열 같은 영적·병리적 장치를 통해서만 ‘위안부’에게 (비)언어를 허용하거나 ‘말해질 수 없음’의 방식으로만 고통을 재현해온 주류 ‘위안부’ 서사와 대비된다. 이 영화는 ‘위안부’ 피해자들도 말할 수 있다거나 말해야 한다는 당위를 넘어, 이미 이들이 자신과 이웃, 그가 속한 공동체에 끊임없이 ‘말 걸어’ 왔음을 깨닫게 한다.

영화는 ‘옥분’(나문희)이 가족에게도 수용되지 못하고 국가에서 실시한 ‘위안부’ 등록에도 참여하지 않은 채 사회적 낙인에 시달려왔음을 보여주지만, 거기에 그치지 않았다. 그녀가 구청장이 다섯 번 바뀌는 동안 무려 8000건의 민원을 제기하며 살아왔다는 건 무슨 뜻일까. 그건 그녀가 생의 의지로 충만한 성실한 시민으로 살아왔다는 것 이상이다. 그녀는 어떻게 이 사회가 보여준 낙인과 냉대에도 불구하고 끝내 “법은 지키는 게 도리”라며 이 나라의 법과 제도에 대한 신뢰를 버리지 않을 수 있었을까. 이 설정은 ‘책임 있는 청취자’가 있어야 ‘위안부’ 피해자들이 말할 수 있다고 강조해온 ‘위안부’ 서사의 명제를 조금 비튼다.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은 그 어떤 조건에서도 늘 이 사회에 ‘말 걸고’ 있었다.

그녀들이 ‘말하는’ 순간을 포착한 대목이 이 영화에서 가장 빛나는 건 당연하다. 자신을 보고 등 돌리는 ‘진주댁’을 쫓아가 옥분이 끝내 이웃과의 소통을 이뤄내는 장면, 옥분이 미국 법정에서 “증언하겠습니다”라고 번역되는 “아이 캔 스피크”를 발설하는 장면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뿐인가. 옥분이 조선어와 영어로 행한 연설은 비록 허구지만, 매우 섬세하고도 신중한 설정이다. 이 영화는 ‘정심’(손숙)이 자신의 증언이 오역된 경험 때문에 직접 영어 연설문을 썼고, 옥분으로 하여금 그 연설을 계승하게 함으로써 ‘제국어에의 의탁’이라는 혐의를 영리하게 피하면서 육체적·정신적으로 쇠약해진 정심 또한 말하는 주체로 기입되게 했다. ‘정심’ 역을 한 손숙이 영화 <귀향>에서는 영매를 통해서만 말할 수 있었던 ‘영옥’이었음을 상기한다면 이 얼마나 절묘한가.

조선어, 영어, 일본어, 그리고 비록 가로막히긴 했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통쾌하게 선보이는 보디랭귀지까지. 옥분이 다채롭게 구사하는 언어들은 재현 불가능한 고통을 기록하는 걸 넘어,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이 스스로 역사적 존재이자 한 명의 ‘여성-어른-시민’으로서 자기 생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시도해온 삶의 방식으로 논의의 초점을 이동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것이 “아이 캔 스피크”라는 말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다.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