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피소 많다는데"..전쟁나면 국민 20%는 갈 곳 없어
[앵커]
요즘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위협에 불안해하시는 분들 있으실 것입니다.
정부는 유사 시에 대비해 대피소를 많이 지어놨는데요.
하지만 실제 전쟁이 난다면 우리 국민의 5분의 1은 갈 곳이 없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강은나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우리나라 민방위 대피소 수용률은 인구 대비 170%가 넘습니다.
서울은 225%에 달합니다.
하지만 행정구역별로 봤더니 어찌된 일인지 대피소가 아예 없거나 있어도 주민을 다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반 이상, 2천 곳 가까이 됩니다.
주민 1천만명, 국민의 5분의1은 전쟁이 나면 주변에 피할 곳이 없는 것입니다.
대피소로 쓸 만한 큰 건물이 없는 농촌이나 변두리에 예산을 들여 시설을 짓는 대신 이미 대피소가 있는 도심에 추가로 지정해서 전체적으로 수용률만 높아보이게 한 것입니다.
대피소가 없는 읍·면·동은 전남 225곳, 경북 209곳이나 됩니다.
읍 단위 이상부터 대피소를 짓게 한 행정안전부 지침 때문에 애초에 면 단위에는 만들수 조차 없습니다.
<윤용의 / 강원 춘천시 동면> "(대피시설) 안내판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마저도 어디가서 구경하기 힘들 정도로…"
<유수열 / 강원 춘천시 동면> "막상 (전쟁이) 터진다면 어떻게 피해야될지도 모르고, 어디로 가야될지도 모르고…"
200명 기준 대피소 1곳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은 6억원 정도로 정부와 지자체가 반씩 부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황영철 / 바른정당 의원> "민방위 업무지침을 개선해서 면 단위에도 대피시설이 신설될 수 있도록 바꿔내야 됩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곳에는 국가적으로 특별한 예산 지원이 반드시…"
대피소가 아무리 많아도 골든타임 5분 내 거리에 없다면 우리 국민의 안전은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 연합뉴스TV 생방송 시청 ▶ 뉴스스탠드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