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용 "특전사 북한 지도부 참수작전 못하게 된 건.."
한반도 전시 상황에서 침투 작전을 전개할 특전사가 미군으로부터 군사위성 주파수를 제대로 할당받지 못해 작전 임무수행에 제한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이 장비가 미군의 군사위성으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파수는 1개 채널당 구형 무전기(CSZ-5D)는 5개 팀까지, 신형 무전기(PRC-117G)는 13개 팀까지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는데, 우리 특전사가 보유한 무전기는 구형뿐인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우리 군의 특전사 침투 전력운용계획에 따라 64개 팀이 적지에 침투할 경우 5개 팀만 무전기를 이용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나머지 59개 팀은 적지 한가운데서 보고를 하거나 지휘를 받을 수 없게 된다.
국방부와 특전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재 AM 무전기(PRC-950K)를 함께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 성공률이 50% 미만으로 매우 저조해 침투 작전 시 요원의 작전 수행 능력을 담보하고 생존을 보장할 수 없다.
미국 태평양사령부는 지난해 8월 우리 군에 공문을 보내 "연합훈련 등에서는 3개 채널 지원이 가능하더라도 상시 지원은 불가능하다"고 통보했다.
김 의원은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위기가 어느 때보다 고조된 상황에서 치러진 올해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에서조차 주파수 1개 채널만 운용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김정은 등 북한 수뇌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 수행 특수부대를 창설하려는 시점에서 한미 간 이견으로 통신장비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여현구 인턴기자 yeo.hyungo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