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안보 협치' 물꼬 튼 靑 회동, 정기국회까지 이어질까?

靑 회동서 안보 문제 초당적 대처 필요성 합의
정기국회서 진정한 협치 이룰지 관심

(서울=뉴스1) 최종무 기자 | 2017-09-28 07:45 송고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상춘재 앞에서 열린 여야 4당 대표들과의 만찬 회동에서 참석자들과 손을 맞잡은 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2017.9.2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가 27일 청와대 만찬 회동에서 한반도 안보상황을 타개하고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초당적 대처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면서 안보 문제에 있어서는 여야 '협치'의 물꼬를 텄다는 평가다.

다만 정기국회에서 문재인 정부의 각종 국정과제를 풀어가기 위한 여야정 국정 상설 협의체 구성에 있어서는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향후 이 문제를 놓고 여야의 신경전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가 안보에 있어 초당적 대처의 필요성에 합의를 한 것은 국제 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멈추지 않는 등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에서 정치권이 안보 문제에 합심해 국민적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는데 뜻을 함께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치 앞을 내다 볼 수 없을 정도의 긴박한 안보위기 속에서 정치 지도자들이 머리를 맞대는 모습은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결국 이날 회동은 현재 최대 현안인 안보 분야에 있어 여·야·정이 일회적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됐다는 평가다.
실제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안보에 대해 여야가 함께 초당적 대응하는데 공감을 갖는 회동이었다고 본다"며 "여야가 국회에서 협치를 할 수 있는 출발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과 여야 4당 대변인들이 27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지도부의 회동에 이어 한반도 위기상황 관련 초당적 대처를 강조하는 5개항으로 이뤄진 공동합의문을 발표하고 있다.(청와대) 2017.9.2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다만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구성과 관련해선 조속히 구성하기로 하면서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는 분석이다.

이 문제를 놓고는 여야의 입장이 달라 난항을 겪는 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의당이 협의체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원내교섭단체만 참여해야 한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문제를 놓고 향후 여야의 논의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이날 회동에 한국당이 불참을 하면서 향후 국회 내에서 '자유한국당 패싱'이 가시화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를 위해 처리해야할 각종 법안들에 대해 협력 체제를 구축할 경우 한국당이 설 자리는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강효상 한국당 대변인은 이번 회동 결과에 대한 논평을 통해 청와대는 안보를 핵심의제로 현안들에 대해 야당의 여러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했지만 막상 열린 회동은 그저 문 대통령의 '협치쇼'를 홍보하는 속빈 강정에 불과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번 청와대 회동을 통해 안보에서 협치의 물꼬를 튼 정치권이 남은 정기국회 기간 동안 진정한 협치를 이룰지 주목된다.  

당장 추석 연휴 이후 실시되는 국정감사를 비롯해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철학이 담긴 주요 법안 및 내년도 예산안 처리 등 여야 간 의견이 갈리는 현안이 산적한 만큼 여야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협치 성적표가 매겨질 것으로 보인다.


ykjmf@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